경제·금융 정책

노인 중산층 무너지고 빈곤·부유층 이동 미미… 빚생긴 가구 30% 늘어

■ 2011~2013년 가계살림 변화

소득상위 20~40%인 60세 이상 가구주

절반이 하위층으로 추락


60세 이상 고령 중산층이 무너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상위 20~40% 안에 드는 60세 이상 가구의 절반이 2년 새 하위 계층으로 추락했다. 중위소득 가구의 경우도 다섯 가구 중 두 가구가 수득 수준이 떨어졌다. 또 2년 전 빚이 없던 가구 가운데 30%는 올해 빚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소득층과 최고소득층의 계층 이동도 다른 계층에 비해 활발하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5일 통계청이 2011년과 2013년 기준의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통해 가구의 동태적 변화를 분석한 자료에서다.

◇60세 이상 중산층 붕괴=통계청 분석에 따르면 60세 이상이 가구주인 가구 중에서 2년 새 소득분위가 하락한 비율은 18.6%를 기록했다. 이는 2011년에 비해 소득 수준이 올라선 14.7%보다 3.9%포인트가 높은 수준이다. 특히 중산층으로 불리는 3·4분위의 '계층' 하락이 두드러졌다. 소득 상위 20~40%인 4분위의 경우 2011년과 비교해 절반이 넘는 51.5%가 소득 수준이 내려앉았다. 최고소득층(5분위)로 올라선 비중(14.7%)과 비교하면 3배가 넘는다. 중위소득 계층인 3분위도 1·2분위로 소득이 떨어진 비중이 38.7%였다.


자산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에도 60세 이상의 계층 하락은 17.9%로 상승(10.6%)보다 7.3%포인트가 높았다. 역시 3·4분위의 내림세가 두드러졌고 다른 연령대의 경우 상승한 경우가 하락한 경우보다 많았다.

관련기사



이렇다 보니 2년 사이에 빈곤상태로 진입한 비중도 60세 이상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011년 빈곤선(중위소득의 50% 미만) 위에 있다 2013년 그 밑으로 떨어진 60세 이상 가구 비율은 15.8%로 전체(7.4%)의 두 배가 넘었다. 빈곤한 상태에 머물러 있는 비중 역시 83.2%로 40~59세(52.6%), 39세 이하(46.3%)보다 30~40%포인트가량 높았다.

◇부채 새로 생긴 가구 30% 늘어=2012년과 부채가 없던 가구 중 2년 새 빚이 새로 생긴 가구 비율은 30%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39세 이하가 41.9%로 가장 높았고 40~59세가 38.9%, 60세 이상은 15.8%로 조사됐다. 부채가 있던 가구 중 부채를 모두 상환한 비율은 16%, 남아 있는 비중은 84%로 집계됐다.

금융부채만 놓고 보면 2012년에 부채가 없는 가구 중 올해도 부채가 없는 비율은 73.5%, 새로 발생한 가구는 26.5%다. 2012년에 부채가 있는 가구 중 올해 부채를 모두 상환한 비율은 19.6%, 부채가 남아있는 비율은 80.4%다. 통계청 관계자는 "40세 미만이 부동산 거래나 생활자금 마련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빚을 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활발하지 않은 계층 이동=2011년 소득분위가 2013년에도 유지된 비율은 최빈곤층(1분위)와 최고소득층(5분위)에서 각각 75.9%, 71.2%로 다른 분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부자는 여전히 부자고 가난한 사람은 여전히 가난하다는 의미다. 다만 신분이동은 젊은 계층에서 가장 활발한 편. 39세 이하는 소득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가 52.4%로 40~59세(55.6%)와 60세 이상(66.7%)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