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ELS 투자의 함정

최형욱 기자 <증권부>

얼마 전 H증권사는 자사의 한 주가연계증권(ELS) 상품을 6개월 만에 중도 상환한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뿌렸다. 현대차와 포스코가 기초 자산인 이 상품은 수익률이 연 8.5%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1,000만원을 투자했다면 6개월 만에 은행 이자의 2배인 42만원가량을 벌어들인 셈이니 투자자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일 수도 있다. 하지만 꼼꼼히 따져봐야 할 문제가 남는다. 투자자들이 만약 현대차와 포스코에 직접 투자했다면 같은 기간 각각 30.2%, 18.9%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사정은 다른 증권사들의 상품도 마찬가지다. 얼마 전 S증권은 삼성전자가 기초 자산인 한 상품을 1개월 만에 조기상환, 연 12%(월 1%)의 수익률을 달성했다고 자랑했지만 같은 기간 삼성전자 주가는 10% 이상 올랐다. 물론 ELS 상품은 특성상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률을 올릴 수 있고 원금을 까먹을 확률이 낮다는 점이 매력이다. ELS는 코스피200 등 주가지수나 삼성전자 등 특정 종목의 주가에 연동해 수익률을 지급하는 일종의 ‘방어형’ 파생상품이기 때문이다. 대부분 기초 자산이 최초 기준일보다 10%가량 떨어지지 않거나 12~15%가량 상승한 적이 있으면 대략 10% 안팎의 수익률을 지급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문제는 증권사들이 ELS의 높은 수익성이나 조기 상환 사례만 부각시킬 뿐 주가상승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 등 불리한 점은 감추고 있다는 점이다. 또 기초 자산의 주가가 급락하면 원금 손실을 볼 수 있다. 하지만 ELS는 펀드 평가사들의 평가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관련 정보도 거의 없는 상황이다. 한 증권사의 관계자는 “솔직히 ELS 상품은 ‘품’은 별로 들지 않는 데 비해 ‘돈’이 된다”며 “국내 증권사들은 대부분 ELS 상품 구조를 싱가포르ㆍ홍콩 등에서 수입해 단순 판매하는 실정”이라고 털어놓았다. 하지만 과도한 ELS 판매는 증권사들의 목을 스스로 죄는 행위이다. 장기적인 분산투자가 아니라 ELS처럼 단기적인 수익률만 지향하는 상품이 유행하면 자산운용산업의 발전이 지연되고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