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부산·대전 저축銀 영업정지] 경영정상화 어떻게 할까

부실 못메우고 시장 매물로 나오면<br>신한·하나·KB지주서 인수 타진 가능성

부산저축은행이 17일 영업정지를 받은 가운데 금융권의 관심은 해당 저축은행의 경영정상화 방식에 쏠리고 있다. 오너가 증자 등을 통해 부실을 메우지 못할 경우 삼화저축은행처럼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마침 이에 앞서 매물로 나왔던 삼화저축은행의 매각입찰에서 우리금융지주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빼앗긴 신한ㆍ하나금융지주로선 부산저축은행에 자연스레 눈길이 쏠릴 수밖에 없는 상황. 신한지주의 한 관계자는 "어차피 저축은행의 부실을 해결하려는 금융당국의 방침에 손뼉을 맞춰야 한다면 조금이라도 더 좋은 매물이 나올 때 덤벼드는 게 낫다"는 입장이다. 하나지주는 아직 구체적인 입장표명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물밑에서 부산저축은행 인수 여부도 타진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이런 가운데 KB금융지주의 향방도 변수가 될 수 있다. KB지주는 삼화저축은행 인수전에 불참하면서 다른 저축은행에 관심이 있다고 배경을 밝힌 바 있다. KB지주는 "자산부채이전방식(P&A)으로 인수할 수 있다면 (부산저축은행을 포함한) 다른 저축은행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부산저축은행 사태의 해결 방향은 공적자금 투입 등 다양한 각도에서 시나리오가 나올 수 있어 아직은 금융지주 빅3의 3파전으로 예단하기엔 이르다는 지적도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