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국, 북 핵실험 관련 대표단 곧 방북

중국이 북한의 3차 핵실험을 막기 위한 대표단을 북한에 곧 파견할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의 한 외교 소식통은 28일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을 막기 위해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대표단을 북한에 파견하는 방안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이어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에 반대한다는 원칙을 지속적으로 밝혀 온만큼 곧 고위관료의 방북이 있을 것을 본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최근 시진핑 총서기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특사인 김무성 전 대표 등을 만난 자리에서 북핵을 반대한다고 분명히 한 것으로 전해진 만큼 북핵실험에 대해 중국의 외교적 노력이조만간 가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가에서는 중국이 북한에 대표단을 보낸다면 북한측 주요 인사들에게 중국의 반대의사를 전달하고 핵실험을 강행할 때 안게 될 결과 등을 설명하며 핵실험 포기를 종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중국이 대표단을 파견한다고 해도 북한의 핵실험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막기 위해 중국은 리젠궈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부위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을 보냈으나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강행해 중국의 체면을 구겼다. 또 과거 북한의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에 대한 중국의 반대와 경고 등이 결과적으로 북한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점을 돌이켜보면 대표단을 파견하더라도 그 효과를 자신할 수 없는 형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서는 어느 때보다 강경한 대응에 나설 것으로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예측하고 있다. 이미 환구시보가 북한원조 축소를 거론했으며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비서장의 중국 방문도 어려워질 것으로 관측했다.

그렇지만 중국이 북한에 마냥 매를 들지만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중국마저 북한을 과도하게 제재할 경우, 북한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될 경우 한국의 새정부의 남북관계 회복은 다시 한참 뒤로 밀릴 것이기 때문이다.


김현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