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硏, 한국에 맞는 마케팅전략 소개'소문을 중시하면서 고객의 눈높이 맞춰라'
게릴라마케팅, 바이러스마케팅 등 수많은 마케팅기법이 선보였지만 대부분 잠시 스치고 지나가는 유행어처럼 '반짝' 떴을 뿐 한국 소비자의 특성을 반영하진 못했던 게 사실. 이론적인 마케팅 용어조차 외국 것을 그대로 들여와 우리나라에선 실패하기 일쑤였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소비자를 이해하고 그 특성에 맞춰 마케팅 원칙을 세울 수는 없을까. LG경제연구원은 9일 '한국 상황에 맞는 11가지 마케팅 불변의 원칙'을 제시했다.
◇'어느 회사가 만들었어?'
다국적기업인 유니레버와 P&G는 각 제품군별로 개별브랜드 전략을 쓰기로 유명하다. 하지만 이런 전략이 안 먹히는 시장이 있다.
한국과 일본 같은 동양문화권 국가다. 유니레버와 P&G가 자사 광고 맨 마지막에 기업브랜드를 삽입하는 이유도 이 때문. 우리나라에선 기업 브랜드의 후광효과가 중요한 만큼 기업브랜드 홍보전략이 중요하다.
◇'이 물건도 잘 만드네'
우리나라에선 브랜드 확장도 대중들에게 별 무리 없이 먹힌다.
LG, 삼성, SK 등 대기업의 확장범위가 무한대에 가깝다고 할 정도다. 한국 소비자들은 전문적인 것보다 일반적인 것에 더 후한 점수를 준다.
특정 연령을 타깃으로 한 마케팅은 조로화 되기 쉽다. 최근 이동통신, 신용카드업체들의 특정 연령을 겨냥한 전략도 단기적 수단으로 이용하고 장기적으론 보편적 이미지를 각인시키는 게 좋다.
◇'누가 뭐해 보니 어떻더라'
한국 소비자는 구매결정에 대한 자신감이 약하다. 미국 같은 서양문화권보다 동질성 추구 등 집단주의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
따라서 전문가와 일반대중을 이용해 합리화 시켜주는 방법이 중요하다. 입소문을 통해 경험정보로 소비자를 자극하는 것도 중요한 수단이다.
◇'그 맥주는 너무 써'
대우전자 제품은 '탱크같다', 조선맥주는 '쓰다'식의 브랜드 선입견이 강하다. 한번 고착된 생각은 잘 변하지 않는다. 때문에 브랜드를 고객 인식의 '최고점'에 올려놓야 한다.
하지만 과도한 약속은 조그만 실수에도 큰 실망을 가져오기 십상. 무리한 약속보다 적절한 기대수준을 관리하는 것이 좋다.
고객의 눈높이를 의식하라는 얘기다. 이 밖에도 우리나라 국민들은 전통이나 과거, 향수에 민감하다. 기업 브랜드에 음향효과를 첨가해 장기적 기억에 남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연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