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LG화학, 獨 기업과 2차전지용 양극재 합작법인 설립

국내에 연산 2,500톤 규모 리튬인산철 양극재 생산공장 건설 추진


LG화학이 독일 수드케미사와 손잡고 대용량 리튬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리튬인산철 양극재를 생산하는 국내 합작법인은 설립한다. LG화학은 13일 캐나다 몬트리올의 수드케미 공장에서 김반석 부회장과 귄터 폰 오 수드케미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사는 리튬인산철 양극재 생산과 차세대 소재 공동 개발에 적극 협력하는 한편 오는 2014년 말 본격 양산을 목표로 국내에 연간 2,500톤 규모의 생산공장 건설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LG화학은 리튬인산철 양극재 분야의 원천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수드케미사와의 합작으로 향후 제기될 특허 이슈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극재는 리튬 2차전지 재료비의 약 40%를 차지하는 핵심소재다. 이 가운데 리튬인산철 양극재(LFP)는 풍부한 철을 활용해 가격경쟁력이 높고 안전성과 저장성이 뛰어나 최근 에너지저장시스템(ESS)용 대용량 리튬 2차전지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리튬인산철 양극재 시장은 아직 규모는 미미하지만 향후 ESS용 대용량 리튬 2차전지의 성장에 따라 2015년 5만3,000톤, 2020년 14만톤 규모로 대폭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반석 부회장은 “양사가 보유한 독보적인 기술과 제조 노하우를 결합해 최고의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합작을 통해 앞으로 폭발적 성장이 예상되는 ESS용 대용량 리튬 2차전지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수드케미사는 독일에 본사를 둔 리튬인산철 양극재 분야의 세계 최대 기업으로 독일과 캐나다에 현지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2차전지 소재를 비롯해 촉매, 흡착제 등 다양한 사업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해 12억3,000만유로(한화 약 1조9,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