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은총재 "통화정책은 미래물가에 초점"

"北 미사일 영향 좀 더 지켜봐야"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7일 "현재 물가는 높은수준이 아니지만 앞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질 것"이라며 "통화정책은 미래물가에 초점을 맞춘다"고 밝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하지만 "지금은 금리 판단이 쉽지 않은 시점"이라고 말해 향후 추가금리 인상으로 시장 기대가 쏠리지 않도록 안전판을 쳤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콜금리를 연 4.25%로 동결한다고 밝힌 직후 기자회견을갖고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올해 연말이나 내년초가 되면 소비자물가가 연율 기준으로 3% 가까운 수준이 될 것"이라면서 "통화정책은 과거보다 미래의 물가가 어떻게 될 것인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 물가 인상 압력이 크지 않은데도 한은이 금리를 올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시각과 관련해 " 통화정책을 둘러싼 제도나 환경이 지난 몇년 사이에많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이는 현재 물가상승률을 숫자 그대로 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현재의 금리 수준은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하다는 기본 인식에 변함이 없다"고 말해 금리 인상 행진이 끝나지 않았음을 다시 한번 시사했다. 이 총재는 하지만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앞으로 어떤 상황으로 전개되고국제경제 및 한국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두고봐야 한다"며 "앞으로 콜금리는수출 민간.소비 투자 등이 어떻게 움직일지 봐가면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난해엔 콜금리 인상 결정 과정이 쉬웠지만 지금은 판단이 쉽지 않다"고 말해 콜금리 인상 기조 마무리까지 많은 시간이 남지 않았음을 전달했다. 그는 최근 경기 판단에 대해 "하반기 이후에도 한국경제가 상승 기조를 이어갈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일본금리인상 영향에 대해 "시장에서 이미 예견돼 가격에 모두 반영돼 있다"며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