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재건축 임대아파트 40평형대 등장

마포 하중, 광명 철산주공3단지 40평형대 임대 나와

정부가 신도시나 택지개발지구 등에 중대형 임대아파트 공급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재건축 개발이익환수제 적용 단지에서도 중대형 임대가 등장했다. 18일 GS건설에 따르면 2월말-3월초 일반분양하는 서울 마포구 하중동 서강주택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임대물량 46가구중 33평형 28가구를 뺀 18가구가 44평형(10가구)과 49평형(8가구)으로 배정됐다. 이 아파트는 늘어나는 연면적의 10-25%를 임대아파트로 제공해야 하는 개발이익환수제가 적용된 첫 재건축 단지다. GS건설 관계자는 "2000년에 사업승인을 받아 중소형 의무비율이 적용되지 않았다"며 "최소 평형인 33평형만으로는 모자라 40평형대까지 임대아파트로 내놓게 됐다"고 말했다. 이 임대아파트 물량은 서울시가 조합으로부터 매입해 해당 지역에 1년 이상 거주한 무주택 가구주를 상대로 시세의 90%선에서 임대를 놓는다. 임대 관리는 SH공사가 맡는다. 최근 관리처분총회를 마친 광명시 철산주공3단지에도 40평형대 임대가 나온다. 총 2천72가구중 임대아파트가 183가구로 25평형 182가구를 뺀 1가구는 43평형으로제공할 계획이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일반분양이 없는 1대 1 재건축으로 조합원분 배정후 남는물량을 임대로 배정하다보니 40평형대가 나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앞으로 재건축 아파트내 중대형 임대는 많지 않을 전망이다. 소형평형의무비율에 따라 전용 25.7평 이하를 60%까지 의무적으로 지어야 하는데 조합원들이 인기있는 큰 평수를 먼저 배정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재건축 조합 입장도 분양가가 비싼 중대형을 일반분양하고, 표준건축비와 공시지가로만 보상해주는 임대아파트는 소형으로 내놓는 게 유리하다. 임대관리를 맡아야 할 지자체 역시 중소형 배정을 원하고 있다. 서울시는 재건축 임대아파트 인수 협의 지침상 '전용 18평 이하 70%, 전용 25.7평 이하 30%' 배정을 원칙으로 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큰 평수는 임대수요가 많지 않아 관리처분계획상 어쩔 수 없이 큰 평수가 배정되는 경우가 아니면 가급적 소형으로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명시도 최근 관리처분총회를 마친 광명 철산.하안 주공단지에 임대아파트 평형을 중소형으로 배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최근 관리처분총회를 마친 단지는 임대아파트 예정 평형이 20-30평형대가 대부분이다. 서울 서초구 반포 주공2.3단지의 경우 26, 34평형, 광명시 철산주공2단지는 24평형 128-129가구를 임대로 내놓을 계획이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조합원이 소형을 원하거나 늘어나는 용적률이 많아 중대형까지 내놔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재건축 단지내 중대형 임대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