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모바일 산업혁명 시대] <3> 또 다른 블루오션 RFID

바코드와 원리 비슷…물류·바이오등 관련시장 무한<br>年 37% 성장…2010년 100억弗 시장 형성 전망<br>국내기업 칩제조보다 고부가 운영SW에 승부 걸어야

RFID 판독기능을 갖춘 휴대폰을 이용하면 한우·신선식품 및 양주 등의 진품 여부를 즉석에서 확인할수있다. SK텔레콤과 한국인삼공사가 공동 시범사업을 벌이는 매장에서 고객들이 홍삼 제품을 확인하고 있다.



[모바일 산업혁명 시대] 또 다른 블루오션 RFID 바코드와 원리 비슷…물류·바이오등 관련시장 무한年 37% 성장…2010년 100억弗 시장 형성 전망국내기업 칩제조보다 고부가 운영SW에 승부 걸어야 RFID 판독기능을 갖춘 휴대폰을 이용하면 한우·신선식품 및 양주 등의 진품 여부를 즉석에서 확인할수있다. SK텔레콤과 한국인삼공사가 공동 시범사업을 벌이는 매장에서 고객들이 홍삼 제품을 확인하고 있다. 관련기사 • [모바일 산업혁명] 전체 기사 보기 • 'RFID 휴대폰' 연말께 상용화 무선인식(RFIDㆍ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산업적 가치는 '바코드를 대체한다'는 차원을 뛰어넘는다. 반도체ㆍ이동전화ㆍ초고속인터넷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국내 정보기술(IT) 인프라와 접목될 경우 또 하나의 거대한 성장 엔진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트너ㆍIDCㆍ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국내외 연구조사기관의 전망에 따르면 세계 RFID시장 규모는 지난해 5억달러에서 연평균 37% 정도씩 성장해 5년 후인 오는 2010년 100억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생활을 바꿀 IT 말초신경=RFID의 원리는 바코드와 유사하다. RFID가 미국 월마트, 국내 신세계백화점 등 물류ㆍ제조 분야에서 발아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바코드와 달리 RFID는 고집적 반도체 칩, 센서 등이 들어간데다 무선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판독기(reader)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해당 물품의 정보를 순식간에 읽어낼 수 있다. 바코드 인식거리가 최대 50㎝에 불과한 반면 RFID 인식거리는 주파수대역에 따라 최대 27m에 달한다. RFID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조만간 '스마트 먼지(smart dust)' 같은 최첨단 기술도 등장할 전망이다. 스마트먼지는 1㎜의 초소형 센서를 갖고 먼지처럼 공중에 떠다니면서 주변의 온도와 빛, 물체 성분 등을 분석해 수집한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로 통합전산센터 서버에 보내준다. 먼지처럼 공중에 뿌려놓으면 산에서는 화재감시, 공장지대에서는 공기성분 분석을 통해 환경오염을 예방하도록 도와준다. 전쟁 중에는 적진에 침투해 적의 동향을 탐지한다. 전문가들은 스마트 먼지의 크기가 더 축소될 경우 사람 몸 속에 들어가 암이나 불치병 치료제로도 활용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국제적인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제약회사 화이자는 가짜 비아그라 퇴출 차원에서 지난해 12월15일부터 비아그라 약품병과 운반용 용기에 RFID칩을 부착하도록 했다. 필립스ㆍ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등 다국적기업들은 이미 칩ㆍ태그ㆍ판독기 제조 등에 관한 원천 제조기술을 확보해놓고 '시장이 뜨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세계 시장 초기 단계로 선점 가능성 커=RFID 분야에서 한국의 잠재력은 엄청난 것으로 평가된다. 정부만 한국전산원 RFID/USN팀장은 "각국이 아직 바코드를 대체하는 수준에서 사업 모델을 찾고 있는 반면 우리는 이미 초고속인터넷ㆍ이동통신망 등과 연계한 사업 모델을 발굴 중이며 상용화 단계까지 온 것도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미국 정부나 다국적기업조차 운영 노하우를 사겠다고 제의해올 정도로 우리의 실력을 인정하고 있다"며 "국제 RFID시장이 초기 단계인 만큼 국내 기업들이 시장을 선도할 여지가 크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국방부 탄약 관리 ▦조달청 물품 관리 ▦국립현대미술관의 주요 소장품 관리 등의 시범사업이 지난 2년간 진행돼왔다. 현재 RFID의 발목을 잡고 있는 가장 큰 요인은 RFID 태그 가격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태그 가격이 조만간 5센트(50원)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하기도 한다. 진대제 정통부 장관이 "결국 RFID 분야에서 한국의 승부처는 태그 제조가 아니라 RFID 운영 노하우나 운영 소프트웨어(SW)"라고 강조한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다. 제조업보다는 운영 노하우에서 '금맥'을 찾는 새로운 사업 모델이 바로 RFID인 셈이다. 다만 세계표준 부재와 개인정보 유출, 사생활 침해에 대한 거부감 등은 걸림돌이다. 윤종록 KT R&D부문장(부사장)은 "최근 통신공학의 최대 관심은 전송속도를 중시하는 주파수대역(bandwidth) 경쟁에서 보안(security) 경쟁으로 바뀌고 있다"며 "이를 슬기롭게 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별취재팀 정구영차장·정승량·한영일·권경희·최광기자 gychung@sed.co.kr 입력시간 : 2006/02/07 17:1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