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토지거래 침체 수도권 도심 확산

최근 6개월 호가 10%이상 떨어지기도

토지거래 침체가 지방에 이어 수도권 일대 도심지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지방 농지와 임야에 이어 도심지 땅값도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충청권을 중심으로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의 토지거래가 침체되면서 호가가 점차 하락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최근 6개월간 10% 이상 가격이 떨어졌다. 가격이 빠지고 있지만 땅을 사려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그동안 도심지 땅은 양도세 강화 등 정부의 대책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강세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최근 아파트 분양시장 침체와 각종 건축규제, 기반시설부담금 부과 등의 악재가 겹치며 사업성을 보장할 수 없게 되자 침체에 빠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천 서구 심곡동의 상업용지는 지난해 말 평당 1,500만원을 호가했지만 지금은 1,300만원으로 떨어졌으나 팔리지 않는다. 매수자들이 가격이 더 떨어질 것으로 보고 관망하고 있는 것이다. 인천 서구 연희동의 일반주거지역 땅값도 평당 260만~270만원으로 지난해 말(평당 300만원)보다 10% 이상 빠졌고 남구 주안동에 근린생활시설을 지을 수 있는 일반주거지역도 지난해 말 평당 700만원에서 지금은 평당 550만원으로 내렸다. 인천 주안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최근 분양시장 침체로 땅을 사서 상가나 다세대ㆍ빌라를 짓고 싶어도 미분양 걱정 때문에 개발업자들이 외면하고 있다”며 “이달부터는 기반시설부담금까지 더해져 토지주들의 걱정이 더 늘었다”고 말했다. 평택ㆍ오산ㆍ수원 등 수도권 남부지역의 도심지 땅도 시세보다 10% 이상 싼 급매물이 나오지만 거래가 없다. 평택시 동삭동의 주택지는 지난해 말 평당 200만원을 호가했지만 지금은 150만원선으로 하락했다. 춘천시 교동 주택지도 평당 150만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평당 50만원 정도 떨어졌고 한때 투자붐이 일었던 충남 서산 등에서도 급매물이 제법 늘었다. 서산시 동문동 주거지역은 지난해 말 평당 100만원에서 현재 90만원에 매물이 나오고 있다. 박원갑 스피드뱅크 부동산연구소장은 “아파트나 상가시장이 침체될 경우 원재료시장인 토지시장도 수도권과 지방을 중심으로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실수요자라면 시장을 좀 더 관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