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엎치락 뒤치락’ 은행장 인사/「최후의 승자」 누가될까

◎행장대행체제 서울은 최연종 한은부총재 유력/홍세표 한미은행장 후임 김진만 전무승진 점쳐한보사태 여파로 공석이 됐거나 될 예정인 서울과 한미은행의 후임행장이 누가 될 것인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가 당초 방침을 바꿔 내정인사 구도를 백지화하고 후임행장 추천을 각 은행의 자율에 맡기겠다고 밝힘에 따라 행장인사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서울은행은 내부승진 1순위인 표순기 전무가 한보관련 징계(주의촉구)를 받았기 때문에 정부가 한보관련 인사배제원칙을 고수하는 한 외부인사 영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최연종 한국은행 부총재가 정부의 추천이나 본인의 의중과 상관없이 가장 유력한 행장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신복영 금융결제원장과 윤병철 하나은행회장 등도 후보로 거론되고 있으나 신원장은 손홍균 전 행장때 경합끝에 탈락한 전례가 있어 모양이 좋지 않고 윤회장은 스스로 일선에서 용퇴했기 때문에 실현가능성이 희박하다. 그러나 행장추천권을 가진 비상임이사들이 정부의 장행장사퇴압력에 강력 반발, 행장추천을 위한 비상임이사회가 당분간 열리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표전무의 행장대행체제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다. 외환은행으로 자리를 옮기는 홍세표 한미은행장의 후임에는 김진만 전무의 내부승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대주주인 삼성과 대우의 의견이 엇갈리지만 김전무가 또다른 대주주인 BOA의 신임을 얻고 있고 대부분의 비상임이사들도 외부영입보다는 내부승진을 원하고 있어 별다른 외압이 없는 한 김전무가 유력하다. 그러나 금융계 정서상 정부의 당초 구도를 쉽게 외면하기는 어려운 형편이어서 아직은 유동적이다. 당초 한미은행장 내정설이 나돌던 문헌상 수출입은행장은 유임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는 소식도 들린다. 이 경우 의외의 인물이 낙점될 가능성도 있다. 한미은행은 다음주 초 행장추천을 위한 비상임이사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후임행장이 내부에서 선임될 경우 임원 선임 등의 절차가 필요없어 이르면 6월말께 후임행장이 취임할 수 있으며 외부영입의 경우에는 2개월 가량 대행체제가 불가피하다.<이형주>

관련기사



이형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