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다세대ㆍ다가구 신축 크게 줄었다

다세대ㆍ다가구 신축 크게 줄었다 부동산경기 급랭ㆍ逆전세난 겹쳐 공사 미뤄강동구 건축허가 월6~7건에 그쳐 작년절반 전세시장 침체로 다세대ㆍ다가구 수요가 위축되면서 이들 주택의 신축마저 급속히 줄고 있다. 단독주택을 헐고 임대용으로 다세대ㆍ다가구 주택을 지으려던 집주인들이 부동산시장 급랭에 역(逆)전세난까지 겹치자 공사를 미루고 있는 것. 다세대ㆍ다가구 밀집지역인 강동구의 경우 올들어 다세대 건축허가 건수가 월 6~7건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월평균 13.7건에 비하면 절반 수준이다. 특히 다세대ㆍ다가구 주택 건립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2001~2002년에 비하면 10% 수준에 불과하다. 강동구 건축과의 한 관계자는 “건축허가를 받았어도 실제 착공하는 경우는 드물다”며 “허가 후 1년의 착공기한이 다가옴에 따라 허가연장을 문의하는 건축주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이 다세대ㆍ다가구 신축을 주저하는 것은 전세시장이 침체된데다 물량 자체가 넘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지역은 2001년 주차장 설치기준 강화 등 건축규제를 앞두고 서둘러 다세대ㆍ다가구 허가를 받으려는 물량이 몰리면서 건축허가 건수가 평소보다 4~5배 많은 월 7,000~9,000가구에 달했다. 다세대ㆍ다가구의 임차인 구하기는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렵다. 다세대ㆍ다가구가 밀집한 송파구 마천동 일대는 지난해부터 임차인을 구한다는 현수막이 여전히 걸려 있는 건물이 부지기수다. 지하철 5호선 마천역에서 가까운 이곳의 한 신축 다세대 25평형은 전세가격을 1억2,000만원에서 1,000만원 깎았지만 한달 이상 나가지 않고 있다. 송파구에서는 2001년에만 다세대 1만6,000가구가 신규허가를 받았다. 이 같은 공급과잉으로 하반기 건축법 개정을 앞두고도 신축시장이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5월 입법예고된 건축법 및 시행령 개정안은 다세대 등을 포함한 공동주택의 일조권 등 환경권 확보를 위해 건축기준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새로 주택을 지으려면 인접대지 경계선까지 건물 높이의 4분의1만큼 거리를 두거나 건폐율 산정시 발코니를 모두 건축면적에 포함시켜야 하는 것. 수목건축 개발사업팀의 한 관계자는 “규제를 적용받지 않으려면 오는 10월 건축법 개정 전에 서둘러 건축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신축문의는 1주일에 1~2건에 불과하는 등 평소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박현욱기자 hwpark@sed.co.kr 입력시간 : 2004-08-19 17:4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