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勞-使-政 일자리창출 손잡았다

정부와 재계, 노동계가 손을 맞잡고 `일자리 창출`에 본격 나섰다. 청년실업자가 40만명에 육박하고 `고용없는 성장`이 구조화 조짐을 보이는 등 실업사태가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자 정부는 특별 기금을 조성해 해외연수, 해외인턴십 및 청년무역인력 양성 프로그램들을 내놓는 등 청년 실업자들의 해외취업 기회를 넓히기로 했다. 재계도 올해 신규 채용 규모를 지난해보다 5~10% 늘리는 방안을 적극 모색중이며, 노동계 역시 이날 노사정위원회를 통해 `한국판 바세나르 협정`이 될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협약` 체결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12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올해 핵심사업을 `일자리 창출`로 잡고 이르면 내달 `일자리 특별위원회`를 구성, ▲회원사에게 신규고용을 독려하고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청년실업 축소 등에 힘을 쏟기로 했다. 이에 호응해 삼성ㆍLGㆍ현대차ㆍSK 등 주요 대기업은 청년실업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대졸 신규사원을 지난해보다 5~10%가량 늘려 채용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역시 청년 실업자들의 해외취업 기회를 넓혀주기 위해 앞으로 2년간 한시적으로 외국기업(해외)이 한국청년을 고용할 경우 1인당 월 150만원씩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 병행해 기업활동을 저해하는 각종 규제를 과감히 완화, 철폐시키기 위해 토지관련 규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키로 했으며, 투자에 대한 세제 및 금융지원을 대폭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앞서 정부는 올해 경제정책의 키포인트를 `일자리 창출`로 잡아 30만~50만개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정부와 재계는 특히 오는 19일로 예정된 노무현 대통령과 전경련 회장단 모임에서 `투자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공감대를 확고히 다질 전망이다. 노동계는 이날 노사정위원회를 통해 `일자리 만들기 사회협약을 체결하기 위한 기초위원회`를 구성하는데 합의, 내달 7일까지 주요 논의 과제를 정하기로 하는 등 투자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문성진기자 hnsj@sed.co.kr>

관련기사



문성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