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국내기업 87% "통일되면 대북사업 추진 의향"

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통일 후 대북사업을 추진할 의향을 갖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가장 관심 가는 지역은 개성·해주, 희망사업 분야는 지하자원과 사회간접자본(SOC) 개발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국내 기업 500개사에 통일 이후 대북사업 추진 의향을 물어본 결과 ‘적극 추진하겠다’는 응답이 30.8%, ‘여건이 허용하는 한 추진할 것’이라는 답이 56.4%로 나왔다고 10일 밝혔다.

기업 87.2%가 통일이 되면 대북사업에 나서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통일이 되더라도 대북사업을 하지 않겠다’는 답은 12.8%에 불과했다.

투자 관심지역은 개성·해주 등 경기도 접경지역(42.3%)이 가장 많았고 평양·남포 등 북한 수도권지역(28.0%), 신의주·황금평 등 중국 접경지역(11.5%), 원산·금강산 등 강원도 인근지역(9.2%), 나진·선봉 등 러시아 접경지역(5.3%) 순이다.

희망사업분야로는 북한 지하자원 개발(28.4%), SOC 건설(22.1%), 생산기지 조성(22.1%), 대륙연계 물류망 구축(18.7%), 북한 내수시장 개척(8.7%)을 들었다.

대북사업 추진 형태로는 직접 시설투자(37.1%), 위탁가공 의뢰(28.4%), 단순교역(25.2%), 합작투자(6.9%) 등을 꼽았다.


통일의 필요성에는 공감했지만 진전 상황에 대해서는 부정적 기류가 우세했다.

관련기사



65.1%가 통일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필요한 이유로는 경제발전(61.2%)을 가장 많이 꼽았다.

남북관계 동향을 묻자 10.6%만이 ‘통일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답했고 대다수인 70.7%는 ‘제자리 걸음을 한다’고 봤다.

통일 예상 시기로는 20~30년내(35.4%)와 10~20년내(31.2%)가 많았다.

남북분단이 기업활동에 주는 부정적 영향으로는 북방으로 진출할 기회 차단(37.2%), 도발 행위로 인한 시장 불안정(28.7%) 등을 들었다.

북한 방문을 희망하는가 라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28.2%가 ‘기회가 되면 가겠다’고 답했고 33.8%는 ‘제안이 오면 긍정적으로 검토해 보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북한 기업의 역량 개발에 협력하겠다는 기업들은 가능한 방안으로 기술전수(31.3%)를 첫손에 꼽았고 북한 경제인의 우리 기업 답사 허용(25.8%), 전문인력 파견(20.5%) 등도 제시했다.

2010년 천안함 피격으로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간 경제교류를 전면 금지한 5·24 조치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대다수(87.6%)가 해제 논의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대한상의는 “북한의 조선상업회의소가 세계상공회의소연맹(WCF)에 참여하기도 하는 만큼 우리 경제계가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볼 계획”이라며 “원산지증명 발급교육, 북한 기업인의 국내기업 시찰, 품질경영 컨설팅 등 상의가 갖고 있는 차별적 기능도 실질적 협력사업을 전개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남북경협이 이뤄져야 북한의 경제수준을 높여 통일 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면서 “경제 협력 중단이 길어질수록 재개할 수 있는 부담과 애로는 커지는 만큼 당국간 대화와 협상은 물론 민간차원의 교류 등 다각적이고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