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슈 인사이드] 자전거도로, 부산·대전등 다른 지자체도 이용률 저조

도로폭 좁고 끊긴 곳도 많아<br>일부지역 주민들 철거 요구도

서울시 뿐 아니라 다른 지자체도 자전거도로의 이용률이 높지 않다. 경쟁적으로 자전거전용도로를 구축했지만 이용환경이 좋지 않거나 체계적으로 조성되지 못해 시민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자전거도로를 철거해 달라고 요구하기도 한다. ◇부산시, 지난해 자전거 교통사고 사상자 393명= 부산시의 자전거도로는 모두 152개 노선에 총연장 323km에 달한다. 이 가운데 전용노선은 18개(44.87km)다. 올해는 57억원을 투입해 명지~창원시 경계의 10.4km구간과 하구언다리~고신대병원을 잇는 2.4km구간 등 모두 12.8km의 자전거도로를 확충할 계획이다. 그러나 부산의 자전거노선을 살펴보면 문제점들이 곳곳에 눈에 띈다. 우선 전용도로의 폭이 일정치 않다. 어떤 구간은 너무 좁고 또 다른 구간은 한쪽 방향으로만 갈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교차로에서 차량과의 충돌 위험성도 크다. 자전거 전용도로조차 도로 곳곳이 끊겨 있기 때문에 갓길 주행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자전거 이용환경도 미흡하다. 특히 자전거 횡단도 설치는 여전히 부족하다. 부산YMCA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부산지역에 설치된 자전거 횡단도는 모두 51개에 불과하다. 또 자전거 횡단도가 설치돼 있더라도 자전거 이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표지판 설치가 안 돼 있는 곳이 많아 충돌사고가 우려된다. 지난해 부산에서 발생한 자전거 교통사고로 13명이 사망했고 380명이 부상했다. 부산시는 올해 남구와 해운대에 있는 자전거도로에 횡단도, 표지판을 설치하는 등 자전거도로를 정비할 계획이다. 그러나 전체 자전거도로에 대한 정비는 예산부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대전시, 일부 구간 자전거도로 철거 논란= 대전시는 대전을 전국의 대표적 자전거 도시로 육성한다는 계획아래 자전거전용도로 57㎞와 겸용도로 486㎞ 등 543㎞규모의 자전거도로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갑천(14.6㎞), 유등천(7.4㎞), 대전천(2.3㎞) 등 대전 3대 하천을 이용해 자전거도로를 집중 설치해 자전거타기 활성화에 나서고 있고 대전의 신도시인 도안신도시에 12.6㎞의 자전거도로를 설치해 친환경적 도시를 구축했다. 대전시는 오는 2013년까지 갑천의 자전거도로를 78.3㎞로 확대하고 유등천과 대전천의 자전거도로 또한 16.2㎞, 20㎞로 대폭 확충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 같은 자전거도로 확충과 함께 제기능을 못하는 자전거도로가 속출하고 있는가 하면 자전거도로 이용활성화 방안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실제 대덕대로 계룡네거리에서 대덕대교구간에 설치한 자전거전용도로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한때 자전거도로 철거논란까지 일었다. ◇대전시, 안전문제로 시민들 자전거도로 외면= 대전시는 지난 2009년 15억여원을 투입해 계룡로네거리~대덕대교 5.8㎞에 폭 1.2~2m 규모의 자전거 전용도로를 설치했으나 안전문제 등으로 이제까지 이를 활용하는 시민이 극히 드물어 예산낭비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전시는 말굽형 안전펜스를 설치하는 한편 자동차 최고속도를 70㎞에서 60㎞로 하향조정하고 자전거신호등, 안내표지판, 노면표시 등 안전 및 편의시설을 추가설치했으나 자전거도로 이용시민은 늘어나지 않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자전거도로 확충과 함께 자전거이용 확대를 위해 자전거의 날을 지정해 운영하는 한편 자전거보험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시책을 펼치고 있다"며 "일부 자전거 이용이 저조한 구간을 대상으로 한 개선책 마련과 함께 보다 많은 시민들이 안전하게 친환경교통수단인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 기존 자전거도로 철거 목소리 커= 인천시의 경우 자전거도로를 철거해 달라는 목소리가 여기 저기서 나온다. 지난해 9월 인천시 연수구 비류길 자전거 전용도로 조성이 주민들의 반발로 연기됐다. 연수구에서는 자전거도로를 철거해 달라는 지역이 3~4곳이나 된다. 시비를 지원받아 자전거도로 일부를 철거하거나 보수하려던 사업도 예산 문제로 제동이 걸렸다. 중소기업이 몰려 있는 남동공단의 경우 물류 및 주차 공간 협소 등의 이유로 자전거도로 철거 요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일부 기업들과 공구상가단지 관계자들은 지난해 인천시의회에 진정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자전거도로 탓에 통행이 불편한 것은 물론이고 불법주차가 늘어난 가운데 차량이 자전거도로까지 점령해서 사실상 쓸모가 없다는 주장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오는 4월까지 자전거 도로의 안전시설 설치나 차량동행 불편 사항 등의 개선사항을 군ㆍ구와 공동조사를 통해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