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하반기 경기회복 기대 '반신반의'

본격 경기회복은 4.4분기 이후에나 기대

기업들은 하반기 국내경기의 회복 여부에 대해여전히 반신반의하고 있으며 본격적인 경기회복은 4.4분기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보는 견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6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내 매출액 상위 600대 기업중 43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05년 하반기 경영환경전망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반기 국내경기 전망에 대해 47%가 `다소 개선될 것', 0.5%는 `큰 폭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해 좋아질 것으로 보는 의견이 47.5%를 기록했다. 반면 하반기 경기가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40%를 차지하고 , `다소 악화될 것'과 `큰 폭 악화될 것'이란 응답도 각각 11.8%와 0.5%를 기록해 전체의52.3%는 하반기에도 경기가 좋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경기회복 시점에 대해서는 4.4분기를 꼽은 응답이 31%로 가장 많았고 이어 내년1.4분기 23.3%, 내년 2.4분기 29.3%, 올 3.4분기 17.7% 등의 순이었다. 그 결과 기업들은 하반기 중점 경영전략으로 신상품 개발(21%), 설비투자(4%)등의 공격적 성장전략 보다는 경영내실화(51%), 경영위협요인 관리(21%) 등의 안정위주 경영에 중점을 두겠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하반기 경영목표 조정 여부와 관련해서는 62%가 `연초 계획을 견지하겠다'고 응답해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으며 `축소조정하겠다'는 응답은 27%, `확대조정하겠다'는 응답은 11%를 차지했다. 하반기 국내경기의 향방을 결정짓는 핵심 경제변수에 대해서는 환율(32%)과 내수경기(31%) 등을 우선적으로 꼽았으며, 유가(15%), 미국과 중국의 경제(9%), 정부정책(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정부의 주요 정책과제로 `내수회복 대책'(46%)과 `환율관리'(22%), `원유.원자재 수급대책'(15%) 등에 역점이 두어질 것을 희망했다. 한편 기업들이 하반기 경영계획 수립시 기준으로 삼고 있는 평균 환율 및 유가수준은 각각 1천~1천25원 및 40~45달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준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