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상장사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 급증

금융감독당국의 증자 관련 심사가 까다로워지면서 자금조달을 위해 상장사들이 제출하는 증권신고서가 반려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달 들어 금감원으로부터 정정신고서 제출 요구를 받은 상장사는 모두 4곳에 이르며 이중 3개사는 증자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유상증자와 관련해 정정제출 요구를 받은 상장사가 6곳, 9월에는 4곳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증권신고서에 대한 정정 요구는 형식미비나 거짓기재, 중요사항 누락, 표시내용 불투명 등의 사유로 이뤄진다. 금감원의 정정 요구가 증가한 것은 상장사의 자금 조달방법에 대한 감독당국의 심사가 강화된 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잿밥에만 관심 있는 일부 상장사들이 짧은 기간 목돈을 마련하려고 지분과 관련해 부실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가 금감원에 의해 제동이 걸린 것이다. 한 코스닥시장 기업설명(IR) 담당자는 “연말이 다가올수록 급전을 조달해 재무제표를 좋게 하려는 상장사들이 몰리는 과정에서 부실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는 기업도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증자를 통해 자금조달을 하려는 상장사가 늘어난 것도 원인으로 지적된다. 실제로 지난 10월 이후 유상증자 결정을 알린 상장사는 총 21곳에 이른다. 이 중 주주나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자금을 조달해 증권신고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곳은 8개사로 38% 가량에 해당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