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해외여행 씀씀이 미·일의 두배 달해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GDP(국내총생산)에 대한 해외여행경비 지급비율을 비교조사한 결과 97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1.5%를 기록, 미국과 일본의 0.7%와 0.8%에 비해 두배가량 높았다.90∼97년중 연평균 GDP 대비 해외여행경비 비율도 우리나라가 1.2%인데 비해 미국과 일본은 0.6%와 0.7%에 그쳤다. 우리나라는 외환위기를 맞아 98년에 해외여행을 자제하면서 이 비율이 한때 0.9%로 떨어지기도 했지만 99년(1∼9월중)에는 다시 1.0%로 올라섰다. 이는 절대 규모에서는 미국과 일본 보다 해외여행 지출이 적지만 경제 규모에비해서는 우리나라가 선진국 보다 해외여행 씀씀이가 훨씬 크다는 뜻이다. 해외여행경비 지출액은 97년을 기준으로 한국이 70억달러, 미국 527억달러, 일본 330억달러 등이었다. 이후 우리나라는 98년에 29억달러, 99년(1∼11월중)에는 36억달러를 해외여행에 썼다. 한편 기술개발 부진도 특허권 등 사용료 수지 악화로 귀결돼 서비스수지의 적자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97년중 우리나라의 특허권 등 사용료 수입은 GDP의 0.05%에 불과, 미국(0.4%)과일본(0.2%)에 크게 뒤지며 수입 규모(2억달러)도 미국의 0.7%, 일본의 3.4%에 머물렀다.반면 특허권 등 사용료 지급은 GDP의 0.5%에 달해 미,일의 0.1∼0.2%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온종훈기자JHOHN@SED.CO.KR

관련기사



온종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