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우유업계, 가격인상 카드 놓고 전전긍긍

무관세 혜택 철회되면 비용상승으로 적자 증가<br>우유는 계속 적자, 가격인상은 불가피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해


우유가격을 덜 올린 업체들에게 할당관세제도하의 무관세 유제품 원료 수입 물량을 우선 배정하겠다며 정부가 사실상 가격인상 업체에 대한 제재에 나서자 우유업계가 전전긍긍하고 있다. 지난 24일 9%인상을 발표한 서울우유는 정부의 향후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가격인상을 예고했던 다른 경쟁업체들은 이해득실을 따지며 인상시기 조절에 들어갔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우유는 정부가 할당관세로 브레이크를 걸었지만 우유 가격인상을 예정대로 진행키로 했다. 이 회사의 한 관계자는 “가격인상에 대한 의사 결정은 매우 어렵게 한 것”이라면서 “현재 다른 방법(가격인상철회)은 생각 안 해봤다”고 말했다. 다만 서울우유는 정부가 어떤 방식으로 할당관세 혜택을 철회하는 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무관세 혜택을 받지 못하면 그만큼 손실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올해 구제역으로 인한 피해, 유제품 판매실적, 수입실적 등을 고려해 치즈 분유 등 11개 유제품 원료 14만2,000톤에 대해 무관세로 수입할 수 있도록 배정했는데 내년에는 물가안정에 대한 기여도까지 감안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우유 관계자는 “정부가 시장 가격안정 기여도를 평가 해서 할당관세 유제품을 차등 배분하겠다는데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기준이 없다”면서 “기준을 제시하면 거기에 맞춰 종합적으로 검토 해 향후 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우유발 ‘가격인상’열차에 무임 승차하려던 경쟁업체들은 여전히 원가를 감당할 수 없을 지경이라고 호소하면서도 막상 가격 인상은 주저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가격인상에 대한 계획은 변함이 없지만 정부의 강력한 물가안정 의지에 시기를 늦추거나 조절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남양유업과 매일유업은 서울우유와 비슷한 9%선에서 우유 가격을 인상하기로 내부적으로 결정하고,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치즈의 경우 할당관세를 받지 못하면 5~10%정도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면서 “이전에는 최대한 빨리 인상하겠다는 입장이었다면 지금은 좀 더 논의를 해보자는 입장”이라며 인상시기를 늦출 수 있음을 시사했다. 매일유업의 관계자도 “매일 적자를 보는 상황으로 하루하루 피가 마르고 있다”면서도 “가격 인상 입장은 고수하지만 시기는 계속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올 연말까지 인상 시기를 늦춰달라고 뜻을 전달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들 업체들은가격 인상을 내년 초로 미룰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에 대해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할당관세 혜택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지금은 인상시기를 놓고 종합적으로 검토하면서 지켜보는 수 밖에 없다”면서 “결과(인상 시기)가 어떻게 나올 지 예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