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뉴스 포커스] 수쿠크법 갈등 상처만 남기나

자칫 反이슬람국가 낙인… 경협에도 악영향<br>"건드려선 안 될 문제 터졌다 통과여부 떠나 너무 큰 손실"<br>이슬람시장 통째로 잃을수도


SetSectionName(); [뉴스 포커스] 수쿠크법 갈등 상처만 남기나 자칫 反이슬람국가 낙인… 경협에도 악영향"건드려선 안 될 문제 터졌다 통과여부 떠나 너무 큰 손실"이슬람시장 통째로 잃을수도 문병도기자 do@sed.co.kr 문승관기자 skmoon@sed.co.kr 이상훈기자 flat@sed.co.kr ImageView('','GisaImgNum_2','default','260');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건드려서는 안 될 문제가 터지고 말았습니다. 이슬람채권법 통과 여부를 떠나 너무 큰 상처입니다." 기획재정부 고위관계자는 28일 이슬람채권법의 국회 처리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예, 아니오'가 아닌 이런 답을 던졌다. 지역갈등ㆍ빈부갈등ㆍ계층갈등 등 온갖 갈등 속에서도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종교갈등 문제가 기어코 2011년 대한민국에서 싹을 드러냈다는 것이다. 자칫 '반(反)이슬람 국가'로 비쳐질 경우 무역의존도가 80%를 넘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갈수록 성장성이 확대되고 있는 이슬람시장을 통째로 잃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이슬람채권법 처리가 2월 임시국회에서 사실상 무산되면서 논란은 이슬람채권(수쿠크) 발행 차원을 넘어 이슬람 국가들과의 경제협력 전반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이슬람 국가들과 수십년간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온 국내 정유ㆍ건설사들에 이번 논란은 직격탄이다. 수쿠크를 통해 자금을 들여오느냐 마느냐는 차후의 문제다. 국내에서 반이슬람 정서가 드러났다는 것 자체가 향후 사업을 꾸려가는 데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모 건설업체 관계자는 "지금은 리비아 사태를 비롯한 중동 민주화 시위 때문에 이슬람채권법에 신경을 쓸 틈이 없다"면서도 "이슬람채권법을 둘러싼 국내 갈등이 자칫 중동지역에 알려질까 봐 걱정되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특정 국가ㆍ종교를 배척하는 것 자체가 경제나 사업에는 도움이 될 수 없다"고 토로했다. 현재 해외건설 수주에서 이슬람권인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70%에 이른다. 해외자금 조달처 다양화를 목적으로 수쿠크에 기대를 걸었던 금융권에서는 수쿠크법 불발의 부정적인 영향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산업은행은 지난해 말 말레이시아 정부로부터 35억링깃 규모의 채권발행에 대한 승인을 받았지만 10억링깃만 달러로 바꿔 운용하고 있다. 25억링깃을 수쿠크로 발행하라는 조건에 추가 채권발행이 사실상 막혔다. 수출입은행ㆍ우리은행 등 말레이시아에서 채권발행을 겨냥했던 다른 금융기관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슬람 금융허브'를 목표로 하는 말레이시아는 수쿠크 진흥을 금융정책의 주요 목표로 삼은 터라 자금수요가 있는 전세계 금융권들이 달려들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때아닌 종교갈등으로 시장에 뛰어들지도 못할 형편에 처한 것이다. 국내은행 말레이시아법인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 정치인들의 종교적인 발언이 알려질 봐 걱정"이라며 "스탠다드차타드(SC)ㆍHSBC 등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자금조달처 다양화를 위해 말레이시아 국회에까지 쫓아가 프레젠테이션을 할 정도인데 우리는 안타깝다"고 말했다. 경제 문제에 종교가 개입하며 불거진 갈등에 경제계는 물론 정부와 학계 모두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대 종교학과 모 교수는 "이슬람채권과 관련한 수많은 인터뷰 제의가 있었지만 논란에 휩싸이는 게 두려워 어떤 코멘트도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경제단체의 모 고위관계자도 "얼마 전 특정 종교를 비판하는 식의 발언이 언론에 나가면서 너무 거센 공격을 받아 다시는 이와 관련한 얘기를 안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종교정책을 관장하는 문화체육관광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종교는 결국 신념의 문제라 드러나게 설득하면 반발이 따를 수밖에 없다"며 "관련법안 처리를 재보선 이후로 넘기기로 한 만큼 시간을 두고 차분히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