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사외이사 급구" 비상

기업·금융권, 등기임원 감축등 대책 부심기업과 금융권이 15일부터 본격 정기주총 시즌에 돌입하면서 '사외이사 구하기'에 비상이 걸렸다. 이는 최근 등기임원들의 경영판단에 대한 법적책임이 크게 강화됨에 따라 상당수가 사외이사의 선임을 꺼리고 있는데다 능력을 갖춘 적격자를 찾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3월 말까지 코스닥 등록사의 500여명을 포함, 모두 800~900명의 사외이사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사외이사 후보들이 영입 제의를 잇따라 고사해 상당수 기업들이 애를 태우고 있다. ◇사외이사 구인난 심화 참여연대가 올해 주총 참석대상으로 정한 외환은행의 경우 1년 임기가 끝나는 9명의 사외이사들을 3월 주총에서 대폭 물갈이하거나 연임시켜야 하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SK텔레콤도 사외이사 2명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아직 확정하지 못했고 현대중공업도 최근 여러 후보에게 제안을 했지만 속시원한 답을 듣지 못하고 있다. 특히 등기임원의 과반수 이상을 사외이사로 뽑아야 하는 KTF나 LG텔레콤 등 자산 2조원 이상의 코스닥 등록기업들의 고민은 더욱 크다. ◇책임 강화로 머뭇거려 이처럼 상황이 어려워진 것은 교수나 변호사, 회계사, 전직 관료, 기업ㆍ금융인 등 후보자들이 경영에 본격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면서도 등기임원이라는 이유로 자칫 하면 책임을 뒤집어쓸 수 있는 점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삼성전자 임원들이 과거 부실계열사(이천전기)를 지원했다가 거액의 배상판결을 받은 게 남의 일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수요 급증으로 애로 가중 이번 주총에서 코스닥기업의 사외이사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것도 구인난을 부채질하고 있다. 코스닥기업들은 증권거래법 개정으로 자산 2조원 이상의 경우 등기임원의 과반수 이상을, 일반기업과 자산 1,000억원 이상 벤처기업은 4분의1 이상을 사외이사로 선임해야 한다.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투자유의종목으로 지정된다. 게다가 상장사들도 사외이사가 현재 1,420명선인데 이번에 300~400명은 새로 뽑거나 연임시켜야 하는 형편이다. 유도선 상장회사협의회 조사총괄과장은 "최근 상장사협의회 사외이사 인력뱅크(720명 중 8%가 현재 사외이사로 활동)에 사외이사를 추천해달라는 의뢰가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대책 비상 사정이 이렇게 되자 기업과 금융권은 ▦임원손해배상책임보험 가입과 증액 ▦등기임원 감축 ▦일부 주총일정 연기에 나서는 한편 이사회 중심의 투명경영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임원손해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한 곳은 상장ㆍ등록사의 20%(손해보험협회 집계)에 불과하지만 신규가입이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 또 사외이사를 줄이기 위해 아예 등기임원 감축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서 사외이사의 의견을 폭 넓게 반영하기로 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사외이사들은 보통 매월 200만~300만원(삼성전자의 경우 연봉 5,000만원선)을 받고 있지만 봉급이 없을 정도로 형식적으로 운용하는 곳도 많다"며 "책임 확대에 맞춰 권한과 대우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고광본기자 한영일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