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분기 3.4% 성장… 1년9개월來 최저

1년 9개월래 최저...원화강세 영향<br>고유가로 실질 GDI도 2분기 연속 감소

원화가치 상승으로 수출 증가율이 크게 둔화되면서 올해 2ㆍ4분기 경제성장률이 3%대로 뚝 떨어졌다. 1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또 고유가 여파로 교역조건이 악화되면서 국민들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국내총소득(GDI)도 두 분기 연속 감소했다. ★관련기사 5면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ㆍ속보치)’에 따르면 2ㆍ4분기 실질 GDP는 작년동기대비 3.4%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는 2009년 3ㆍ4분기의 1.0% 이후 1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 4월 한은이 제시한 전망치 3.8%보다도 0.4%포인트 떨어졌다.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2ㆍ4분기 7.5%에서 3ㆍ4분기 4.4%로 떨어진 뒤 4ㆍ4분기 4.7%로 올랐지만 올해 1ㆍ4분기 4.2%로 떨어졌고 2ㆍ4분기에는 3%대로 하락했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호조를 보였지만 상품과 서비스 수출이 둔화되면서 경제성장률을 끌어내렸기 때문이다.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한 실질 GDI도 유가상승 영향으로 전기 대비 0.1% 줄면서 2분기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작년동기대비 증가율은 0.4%에 머물면서 2009년 2ㆍ4분기 이후 2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ㆍ4분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2% 늘었지만 1ㆍ4분기(16.8%)보다는 6.6%포인트나 떨어졌다. 수출 증가율이 10%대로 하락한 것은 지난 2009년 4ㆍ4분기(9.3%)이후 처음이다. 수출 증가세 둔화를 상쇄한 것은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였다. 민간소비는 의류ㆍ신발 등 준내구재와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가 호조를 보이면서 3.1% 늘었다. 수출의 성장기여도는 전분기보다 0.7%포인트 하락한 1.0%포인트로 2009년 4ㆍ4분기 이후 가장 낮았다. 반면 내수의 성장기여도는 1.2%로 전분기보다 0.9%포인트 상승하면서 지난해 1ㆍ4분기 이후 처음으로 수출 기여도를 앞질렀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