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中企 5만곳 구조조정 나선다

신용공여 30억~500억 대상 채권銀 11월까지 자체평가<br>부실기업 선제적 솎아내기 규모 커 파장 만만찮을 듯


채권은행이 오는 11월 말까지 부실 중소기업 5만여곳을 대상으로 대규모 구조조정 작업에 착수한다. 이번 부실 중소기업 구조조정은 지난해 금융 당국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진행됐던 구조조정과 달리 채권은행이 자체 기준을 마련해 선제적으로 신용위험평가 대상 기업을 솎아낸다는 점에서 규모나 파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27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금융감독 당국과 함께 은행연합회에 '중소기업 구조조정을 위한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하고 구조조정 기준안 마련에 나섰다. 구조조정 대상은 신용공여액 30억원 이상 50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들로 11월까지 신용위험평가 진단을 받아 A(정상), B(일시적 유동성 부족), C(워크아웃), D등급(법정관리)으로 분류, 각각의 구조조정 절차를 밟게 된다. 지난 4월 말 현재 국민·우리·신한·하나·기업은행 등 5개 주요 시중은행의 신용공여액 30억원 이상 500억원 미만 중소기업 수는 약 2만여개로 추산된다. 따라서 은행권 전체를 합산하면 전국적으로 5만여개 이상의 중소기업이 신용위험평가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TFT의 한 관계자는 "금감원이 지난해 제시한 구조조정 가이드라인은 대기업 평가기준을 활용한 것이어서 중소기업 평가에 맞지 않다고 판단했다"며 "신용공여 규모와 현금흐름 가운데 하나를 기준항목으로 삼아 다음달 말까지 중소기업만을 대상으로 한 신용위험평가 기준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 구조조정은 은행권이 일괄적으로 신용평가에 착수하고 그 결과를 주채권은행이 종합해 최종 등급을 매기는 방식"이라며 "11월까지 채권은행들은 부실 판정을 받는 중소기업을 선정해 구조조정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각 은행들은 신용위험평가 대상 기업 선정과 기업 수는 유동적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명확한 평가기준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현재 중기 상시평가를 위한 준비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신용공여액 기준 30억~500억원 미만 기업 대상 수는 정해진 게 없다"며 "평가방법과 대상 선정은 TFT의 작업이 끝나야 보다 명확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