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9·11 10주년 앞두고 테러 공포

보안당국, 관련정보 입수… 수사 착수 등 초긴장<br>국민들은 "對테러정책 과잉 투자로 경제위기" 판단

미국 보안당국이 9ㆍ11테러 10주년을 앞두고 테러 관련 정보가 입수되자 곧바로 수사에 착수하는 등 초긴장 상태에 돌입했다. 하지만 미 당국의 이 같은 대응 태세와 달리 미국인들은 지난 10년 동안 정부가 대 테러정책에 투자한 비용이 과도했고 결국 경제 약화로 이어졌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8일 미국 언론에 따르면 매트 챈들러 미 국토안보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구체적이면서 믿을 만한 그러나 확인안된 위협 정보를 입수했다"고 밝혔다. 또 CNN방송은 정부 고위관계자를 인용, "뉴욕과 워싱턴D.C.가 위험할 수 있다는 테러 계획 정보를 최근 입수했다"며 "미국 시민권자를 포함한 테러 용의자들이 미국 내에 들어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정보가 입수됨에 따라 버락 오마바 대통령은 수시로 테러 수사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의회 역시 테러와 관련 정보를 보고받은 후 긴장 상태에 있다고 미 언론들은 보도했다. 하지만 이처럼 미 정부는 물론 의회까지 9ㆍ11 10주년에 맞춘 테러 가능성에 긴장한 상태로 대응하고 있지만 미국인들은 오히려 이 같은 대응 방식이 과도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브루킹스연구소가 같은 날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0%가 '9ㆍ11 테러 이후 정부가 대 테러작전에 과잉 투자해 현재의 경제 위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답했다. '경제 위기에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19%)까지 합하면 전체 국민의 59%가 테러대책 비용이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은 이라크전과 아프가니스탄전에 막대한 전비가 투입됐고 다른 국가와의 동맹관계 구축에도 자원이 낭비됐다는 비판적인 견해를 밝혔다. 전체 응답자의 69%는 아프간 주둔 미군 철수 등과 같은 오바마 대통령의 정책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