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정부 ‘고졸 채용’ 전금융권 확산 독려

정부가 모든 금융권에서 고등학교 졸업자를 채용하라고 독려하고 나섰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지난 22일 금융투자협회ㆍ생명보험협회ㆍ손해보험협회ㆍ여신금융협회ㆍ은행연합회ㆍ저축은행연합회 관계자들을 불러 금주 중으로 회원사의 고졸 채용계획을 취합해 제출하라고 주문했다. 은행연합회가 각 은행의 고졸 인력 채용확대 계획을 모아 최근 발표한 것처럼 협회별로 회원사들이 고졸을 얼마나 뽑을지를 알려달라고 요구한 것이다. 고졸 채용현황을 파악해 금융위에 이미 제출한 각 협회는 금주 중 회원사 관계자들을 만나 인사 제도 변화 가능성을 논의해 그 결과를 금융위에 전달할 예정이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기업은행과 산업은행에서 최근 시작된 고졸 임용 계획을 전체 금융권으로 확대하려는 노력으로 분석된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0일 기업은행을 방문해 고졸 출신 행원들을 격려한 것도 학력보다는 능력 위주로 신입사원을 선발하는 쪽으로 기업들이 인사정책을 바꾸도록 유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금융위가 고졸 채용을 무척 강하게 당부하고 협회도 여러모로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며 최근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나 은행들의 고졸 채용 움직임이 보험과 저축은행, 증권, 카드, 캐피털 등 다른 금융권으로 급속히 확산할지는 미지수다. 전국에 수많은 점포를 둔 대형 시중은행과 달리,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다른 금융사들은 채용 여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자산관리나 프라이빗뱅킹(PB) 영업에 중점을 두는 증권사만 해도 고객들과 일대일로 만나 복잡한 구조의 금융상품을 소개해야 하는 만큼 학력 기준을 낮출 수 없다는 견해가 많다. 정부가 협회를 통해 고졸 채용계획을 내도록 주문한 것은 새로운 형태의 ‘관치금융’이라는 지적도 있다. 비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정책에 성의 표시를 해야 하지 않겠느냐. 그러나 은행과 우리는 사정이 달라 어떤 계획을 내야 할지 난감하다”고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