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쌍방향·누진요금제' SKT "안돼"-KTF·LGT "검토부터"

이통사 행보 엇갈려…"도입땐 SKT 최대타격" 지적도


'쌍방향·누진요금제' SKT "안돼"-KTF·LGT "검토부터" 이통사 행보 엇갈려…"도입땐 SKT 최대타격" 지적도 송영규 기자 skong@sed.co.kr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검토 중인 통신 쌍방향ㆍ누진요금제를 둘러싸고 이통사들의 행보가 엇갈리고 있다. 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은 '불가'를 외치고 있지만 KTF와 LG텔레콤 등 후발 사업자는 '검토 후 입장 정리'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는 분위기다. 18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쌍방향요금제 등에 대해 여전히 통신의 기본명제인 '소통'의 제한과 통신산업 위축을 가져올 수 있다며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SK텔레콤의 한 관계자는 "(쌍방향ㆍ누진요금제는) 검토할 수도, 검토해서도 안 될 문제"라고 선을 긋고 "통신이 무슨 석유와 같은 에너지도 아니고 쓴다고 고갈되는 자원이냐"며 반발했다. 반면 KTF와 LG텔레콤 등 후발 사업자들은 '일단 검토부터 해보자'며 한발 뒤로 물러난 상태. 시장의 '파이'가 작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지만 아직 정확한 판단이 불가능한 만큼 득실부터 따져보겠다는 의미다. KTF의 한 관계자는 "이 주제는 이미 오래 전 한번 검토됐다가 폐기했던 사안"이라며 "인수위에서 일단 화두를 던진 만큼 시장에 미치는 영향, 이해득실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만약 도입이 결정된다면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곳은 SK텔레콤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쌍방향요금제가 실시될 경우 수신자에게도 요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자신이 잘 아는 번호가 아니면 받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절대 통화량은 감소할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될 경우 가입자당 사용량과 가입고객이 가장 많은 SK텔레콤의 매출 감소폭도 덩달아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문제는 이명박 당선인과 인수위 쪽에서 어느 정도 의지를 가지고 있느냐 하는 것"이라며 "결국 이번에도 정치적 판단으로 결정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8/01/18 17:3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