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태양광업계의 반격

"美 태양전지 업체 덤핑공세로 피해"<br>불공정 무역조사 요구서 발송키로

중국 태양광업계가 미국 업체들의 덤핑공세로 피해를 입고 있다며 중국 상무부에 반덤핑 및 상계관세 조사를 요구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는 미 상무부가 이달초 중국산 태양전지 및 태양광패널 업체에 대한 반덤핑 및 상계관세 조사에 나선데 따른 맞대응으로 분석된다. 21일 차이나 데일리는 중국 태양광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업계가 미국의 부당한 저가 태양전지 수출 및 정부 보조금 관행으로 큰 피해를 보고 있다며 중국 상무부에 조만간 불공정 무역 조사 요구서를 발송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중국태양광산업연맹의 가오홍링 부비서장은 "미국 태양전지업체들이 원가 이하로 제품을 수출하면서 중국 경쟁업체들의 도산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며 "이에 대등해 중국 상무부에 반덤핑 조사를 요구하는 청원서를 곧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미 제조업체의 부당한 정부 보조금 수혜 혜택에 대해서도 조사해 달라는 별도의 청원서를 당국에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원서에 따르면 미국 업체들은 정부로부터 폴리실리콘 등 필수 전지 재료의 저가 공급, 세금 면제, 시장 금리 이하의 대출, 토지 저가 공급, 전력 및 수도요금 할인 등에 걸쳐 200여가지 보조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오 부비서장은 미국 업체들이 태양전지의 필수 부품인 폴리실리콘을 저가 수출함으로써 상당 수 중국업체들이 도산했다고 밝혔다. 중국태양광산업연맹은 미국 등 외국 태양전지업체들의 저가 수출로 지난 3ㆍ4분기 중국 태양전지업체들의 줄도산이 발생했고 특정 성에서만 2,000명의 실직자가 발생했다고 강조했다. 가오 부비서장은 미국의 폴리실리콘 제조사인 헴록 반도체그룹과 리뉴어블에너지가 각각 미국 정부로부터 1억6,900만달러와 1억5,500만달러의 보조금을 지급받았다고 주장했다. 이들 미국 회사가 보조금을 활용해 폴리실리콘 수출 단가를 낮췄고 이로 인해 중국 폴리실리콘 산업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는 것이다. 중국 측에 따르면 미국을 비롯한 외국 폴리실리콘 업체들은 지난해 전년보다 2만톤 이상 급증한 4만7,500톤의 폴리실리콘을 덤핑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솔라월드 등 미국의 태양전지업체들은 지난 10월 중국 업체들이 정부의 보조금 등에 힘입어 미국 시장에 원가 이하로 태양광 패널 및 태앙전지를 수출하고 있다며 미국 상무부 등에 진정서를 냈으며 이에 따라 미 상무부는 지난 11월 초 반덤핑 상계 조사에 착수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