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MS 'SNS 특화폰' 나왔다

'킨' 시리즈 공개…첫 화면에 트위터등 배치<br>美서 삼성·LG등 국내업체와 경쟁 치열할듯



마이크로소프트(MS)가 직접 개발한 휴대폰 '킨(Kinㆍ사진)'이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다. 킨은 젊은 층이 많이 이용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특화된 휴대폰이다. 이에 따라 미국시장에서 SNS폰에 중점을 두고 있는 삼성전자ㆍLG전자 등 국내 휴대폰 업체들과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MS는 1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제품발표회에서 킨 휴대폰 시리즈를 공개했다. '킨 원' '킨 투' 등 두 종류로 제조는 일본 샤프가 맡았다. MS는 오는 5월부터 미국 버라이즌과 유럽 보다폰을 통해 글로벌시장에 진출한다. 로비 바흐 MS엔터프라이즈 및 디바이스 사장은 "킨은 연결ㆍ공유를 원하는 10~20대의 요구를 반영한 제품"이라고 강조했다. 킨은 멀티터치 스크린에 슬라이딩 쿼티 키패드를 탑재했으며 첫 화면에 페이스북ㆍ트위터 등 SNS 기능을 전면 배치했다. 휴대폰을 열자마자 친구들이 SNS 사이트에 올린 글이나 사진ㆍ동영상을 바로 볼 수 있도록 한 것. SNS 기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해 '킨 루프' '킨 스폿', '킨 스튜디오' 등 전용 서비스를 내장했다. 킨 루프는 SNS의 새 내용을 바로 업데이트해주는 서비스이며 킨 스폿은 동영상과 사진ㆍ메시지 등을 SNS에 좀 더 쉽게 올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킨 스튜디오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해 동영상ㆍ사진 등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온라인상에 제공하는 저장공간 서비스로 킨에서 생산되는 모든 콘텐츠를 웹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킨 휴대폰 이용자들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통해 MS의 MP3플레이어 '준' 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음악과 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즐길 수 있고 스트리밍 음악 재생도 가능하다. 이는 동영상ㆍ영화 등 멀티미디어 부문을 강화한 OS 윈도폰7의 장점을 미리 엿볼 수 있는 기능들이다. 킨은 사용자들이 고화질 사진과 동영상 콘텐츠를 올릴 수 있도록 킨 원에 500만화소, 킨 투에 800만화소의 카메라를 내장했다. 킨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직접 설치할 수 없어 스마트폰이라기보다 SNS 특화 휴대폰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킨은 5월부터 미국 버라이즌을 통해 북미시장에서 시판되는 데 이어 가을에는 보다폰을 통해 독일ㆍ이탈리아ㆍ스페인ㆍ영국 등에서 판매될 예정이다. MS가 SNS 특화폰을 선보이면서 미국시장에서 삼성전자ㆍLG전자ㆍ팬택 등 국내 업체와의 경쟁이 불가피해졌다. 5월 킨이 본격 시판되면 미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LG전자의 엔비(EnV)나 삼성전자의 키보드형 문자 전용폰과 각축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유진투자증권은 "북미시장의 경쟁심화로 국내 업체들의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