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6월 7일] 갈등 증폭되는 중국의 노사관계

중국에서 파업을 비롯한 노사분규가 잇따르고 있어 현지 진출 국내기업들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외국기업 중국공장 근로자들의 임금인상 요구와 파업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으며 그 불똥이 국내기업에도 튀고 있기 때문이다. 대만 팍스콘사 선전공장에서 12명의 근로자들이 연쇄 투신자살함으로써 다국적기업 중국공장의 근로여건이 도마에 오른 데 이어 크고 작은 노사분규가 이어지면서 그동안 안정을 보여온 중국의 노사관계가 갈등조짐이 커지고 있다. 광둥성 푸산에 있는 일본 혼다자동차의 부품공장은 지난 5월17일부터 보름 이상 파업이 벌어졌다. 이에 앞서 샤프전자의 상하이공장, 니콘카메라의 우시공장 등에서도 파업이 발생했다. 파업은 즉각적인 임금인상으로 겨우 수습됐다. 우리 기업도 노사분규의 무풍지대는 아니다. 자동차 부품업체인 성우하이텍의 베이징공장 파업으로 현대자동차 현지공장의 조업이 한때 중단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이 회사 역시 임금 15% 인상으로 파업을 해결했다. 문제는 이 같은 노사분규가 일과성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근로자들의 욕구와 의식이 변화되면서 노동시장과 노사관계에도 구조적 변화가 시작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국에 진출한 외국기업 공장 근로자들만이 아니라 버스와 택시기사 등 자국회사 근로자들의 파업이 늘고 있는 것도 그런 조짐의 하나로 꼽힌다. 노동자들의 단체행동권이 제한돼 있는 중국에서 국내외기업 가리지 않고 파업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노사관계의 변화를 알리는 신호라 할 수 있다. 근로자들이 집단행동에 나서는 주된 이유는 부동산가격 급등 등으로 경제적 부담이 늘었으나 임금상승이 이를 따르지 못하는데다 계층 간 소득격차가 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도 근로자들의 집단행동이 확산돼 사회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바짝 신경을 쓰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향후 중국 노사관계의 변화 양상과 정부의 대응은 두고 봐야겠지만 근로자들의 권리주장과 욕구분출이 강해질 것은 분명하다. 높은 임금상승 등으로 이어질 경우 기업환경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지 진출 국내기업들은 중국 근로자들의 움직임과 노사관계 변화에 관심을 갖고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