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동부, 사회적 일자리 사업에 올 57억원 지원

'기업 NGO연계형' <br>SKT등 6개 기업 참여 7개 사업 선정

대기업과 비정부기구(NGO)가 소외 이웃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를 만들고 정부가 이를 지원하는 사업이 본격화 됐다. 노동부는 21일 ‘기업-NGO 연계형’ 사회적 일자리 사업자를 선정, 올해 56억9,600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결식자 도시락 급식, 시간제 보육, 간병인, 저소득 거동불편자 이동 지원 등 사회사업에 필요한 사무실이나 설비 등 인프라를 기업이 제공하고 NGO는 사람을 채용, 운영하고 정부는 인건비를 대는 방식이다. 기업연계형 사업에는 SK텔레콤, SK(주), 현대자동차, 교보생명, 농협중앙회 영광지부, 돈화상사 등 6개 기업이 참여하는 7가지 사업이 선정됐다. SK텔레콤은 지난 1월부터 실업극복재단과 함께 실직자 173명을 고용, 매일 3,000여명에게 무료로 도시락을 공급하고 있다. 총 사업비 93억원 가운데 SK텔레콤이 48억원을 대고 정부가 12억9,000만원을 지원한다. 교보생명도 실업극복재단과 ‘교보다솜이간병봉사단’을 설립, 저소득 환자에게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총 사업비 25억1,300만원 가운데 교보생명이 12억8,800만원을, 정부가 8억3,600만원 등을 지원, 100명의 일자리가 생겨난다. SK㈜는 YMCA와 협력, 160명의 저소득 여성들이 참여하는 시간제 보육사업에 나선다. SK㈜는 또 부스러기사랑나눔회와 저소득층 자녀에 대한 방과후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파트너로 참여한다. SK㈜는 두 사업에 올해 34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현대자동차도 사단법인 노인과복지, 부산시와 함께 저소득 장애인에게 차량이동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한편 노동부는 NGO 단독이나 NGO간 결합을 통해 일자리를 제공하는 ‘광역형 사업’ 단체도 선정, 38억6,2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노동부는 다음달 임시국회에서 ‘사회적기업지원법’이 제정되면, 사회적 일자리 사업자를 장기적으로 자립형 기업형태로 육성해나갈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