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자회사 흔들… 한숨 커지는 SK㈜

해운 자본잠식으로 증자 부담<br>네트웍스도 해외투자 손실 급증

SK그룹의 지주회사인 SK㈜가 SK건설과 SK해운ㆍSK네트웍스 등 실적 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자회사들로 인해 깊은 고민에 빠졌다.

18일 증권업계 및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SK해운의 경영상태가 악화되면서 지주회사인 SK㈜의 유상증자 참여 등 지원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대주주인 SK㈜가 SK건설 지원에 나섰는데 더 심각한 계열사는 바로 SK해운"이라며 "지주사인 SK㈜가 이르면 올해 말이나 늦으면 내년 초 건설에 이어 해운에 추가 지원에 나설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실제로 SK해운의 경우 지주회사 소속 9개 자회사 중 유일하게 자본잠식 상태에 처했다. 해운업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해외법인에 대한 유상증자 부감과 선박 투자가 겹치면서 올 상반기 차입금만 무려 4조2,000억원에 이르고 있다. 한마디로 SK해운의 경우 차입금 증가, 이자비용 증가, 현금흐름 악화, 차입금 증가 등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SK해운은 알짜회사인 SK B&T를 신설, 분할해 지분을 매각하거나 해외 증시에 상장하는 방안 등 다각적인 자구책을 검토 중이다. 문제는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차입금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가 예사롭지 않다는 점. 이 때문에 지주회사인 SK㈜의 지원 가능성이 점점 현실화되는 상황이다.


SK네트웍스 역시 지주회사인 SK㈜의 고민이다. SK네트웍스의 경우 브라질 철광석 개발 사업 투자 손실이 커지면서 당기순손익이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1ㆍ4분기에만 1,200억원의 손실을 털어냈고 3ㆍ4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적자가 무려 1,749억원에 달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SK네트웍스는 인력 구조조정 등에 나서고 있지만 깊어지는 적자에서 빠르게 헤어날 방안을 쉽게 찾지 못하고 있다.

관련기사



SK건설 역시 SK㈜의 유상증자 참여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녹록지 않다. 이를 계기로 SK건설은 부채비율을 200%대로 낮추는 등 경영 정상화를 이뤄나갈 계획이지만 건설경기 회복이 불투명하다 보니 회복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주사인 SK㈜가 SK건설 유상 증자와 해운 부진 등 자회사 실적 악화가 겹치면서 대주주로서 영향을 받고 있다"면서 "SK해운 추가 지원 및 자회사 실적 악화가 큰 리스크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종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