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리스크관리용 저축銀 설립 필요"

상호저축은행의 리스크관리를 위해 저축은행들이공동으로 별도의 저축은행을 설립하는 방안이 제안됐다. 금융연구원 정찬우 연구위원은 20일 `리스크관리와 상호저축은행의 경영전략'보고서에서 "저축은행은 여신에 수반되는 신용위험을 최소화해 수익성을 높이는 게 리스크관리의 핵심"이라면서 "저축은행들이 연계해 새로운 저축은행을 설립하거나 인수해 리스크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운 저축은행이 만들어지면 회원 저축은행은 일정액 이하의 대출이나규격화된 대출에 주력하고 거액대출의 경우 신규 저축은행을 통해 신디케이트론을구성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면서 "신규 저축은행은 회원 저축은행을 위한여신위원회와 종합기획부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회원 저축은행의 후선업무(backoffice)를 취합, 처리함으로써 비용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신규 저축은행의 경비는 자기자산 운용수익과 신디케이트론 주선에 따른 수수료를 통해 마련하고 수익은 회원 저축은행이 공유하는 방식이다. 정 위원은 "이 방안이 실현되면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자발적 인수.합병(M&A)시장이 활성화돼 구조조정에 따른 정부의 부담이 줄어들고 저축은행업의 건전성이 제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박성제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