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후쿠시마 원전 2호기 냉각시스템 재가동 성공할까?

오늘 원전 내부 전기 연결 시도… 방사성물질 많아 쉽지 않을듯<br>17일 저녁 자위대 지상 살수작업 후 누출 방사선량 조금씩 감소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운영사인 도쿄전력이 18일 외부에서 끌어온 고압 송전선을 발전소 내부에 연결하는 작업에 들어간다. 도쿄전력은 원자로 노심(爐心) 비상냉각장치(ECCS)와 사용후 핵연료 저장 수조에 냉각수를 공급할 펌프 등 냉각시스템을 복구시키기 위해 17일 인근 고압 송전선에서 전기를 끌어오기 위해 전력선 설치 작업을 했으며, 지상 살수작업 지연으로 18일 발전소 내부 연결작업에 들어간다고 NHK 방송이 보도했다. 도쿄전력은 우선 전기설비 손상이 적은 2호기에 이르면 18일 밤 전기를 이용한 냉각시스템 재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하지만 방사성 물질을 뿜어내는 원자로에 접근해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러시아 원자력 교육ㆍ연구기관인 오브닌스크 물리에너지공학연구소의 게나디 샤킨 소장은 "일본은 냉각수 순환 펌프를 하나라도 먼저 작동시키는 것이 우선"이라며 "순환펌프를 재가동할 만큼 충분한 전력을 확보했는지 불분명하다. 현지에 있는 디젤 발전기와 이동식 발전기로는 출력이 충분치 않다"고 말했다. 샤킨 소장은 일각에서 '제2의 체르노빌' 우려를 제기하는 것과 관련, "체르노빌에서는 화재와 가연성 물질인 흑연이 있었지만 후쿠시마에는 흑연 등 연소재가 없고 화염도 없다. 노심용융(원자로 내부가 녹아내리는 것)이 일어났다고 쳐도 소량의 방사능 물질과 증기만 누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샤킨은 또 "열흘 안에 후쿠시마 상황은 분명해진다. 물이 충분하게 공급되면 원자로가 저절로 식기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자력안전보안원에 따르면 전원 공급은 2호기를 시작으로 1호기, 3호기, 4호기 순으로 이어진다. 후쿠시마 원전은 운전 중이던 발전기가 지진에 뒤이은 쓰나미로 고장나 1~3호기의 경우 냉각 기능을 잃은 상태다. 도쿄전력은 1~3호기 원자로 압력용기에 펌프차로 바닷물을 주입, 뜨거워진 핵연료를 식히는 응급조치를 취해왔다. 하지만 폭발사고가 일어날 정도로 원자로 안의 압력이 워낙 높아 바닷물 주입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원전 냉각시스템이 가동되지 않아 주입한 바닷물이 곧 증발해버리는 바람에 연료봉이 녹아내려 방사성 물질이 대량 유출될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한편 후쿠시마 제1원전의 방사성 물질 대량 유출 사태를 막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이 17일에도 이어졌지만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일본 정부는 바닥을 드러낸 3호기 사용후 핵연료 저장 수조에 바닷물을 채우기 위해 17일 오전 자위대 헬기를 동원, 상공에 바닷물을 쏟아부었으나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이에 따라 오후 7시35분~8시9분 지상에서 특수 소방차 5대로 30톤 가량의 바닷물을 뿌려댔지만 수조에 어느 정도의 물이 도달했는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원자력안전보안원은 후쿠시마 제1원전 서문 근처에서 측정한 방사선량이 17일 오후 3시30분 시간당 0.309밀리시버트에서 지상 살수작업 직후인 오후 8시40분 0.292밀리시버트로, 18일 오전 5시 0.279밀리시버트로 조금씩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속보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