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공모전 수상경력 쌓기] 비주얼 살린 작품으로 강한 인상 심어라

자잘한 장식보다 포인트 강조… 컴퓨터로 다양한 기술 활용 리포트 작성…<br>PT땐 '쇼맨십' 으로 무대 장악을<br>심사위원들 성향·의도 파악 필수<br>공모전 관련 동아리 가입도 도움

지난해 신세계백화점이 디자이너 발굴을 위해 개최한 디자인 공모전에서 참가자들이 작품을 손질하고 있다.


여름방학을 앞두고 광고, 디자인, 제품기획, 아이디어 등 다양한 분야의 공모전 개최 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기업들이 실무에 강한 인재를 선호하면서 능력을 검증할 수 있는 공모전 수상 경력에 채용전형에서 가점을 주거나 우대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부족한 경력과 현업 감각 부족을 채워줄 기회로 공모전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공모전은 정보 파악이 우선=일단 공모전 정보를 빠르게 얻는 것이 중요하다. 매일 많은 공모전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막상 정보를 몰라 일정을 지나치기 일쑤다. 대형 공모전들은 매회 비슷한 시기에 열리므로 시기를 확인해두면 유리하다. 공모전 관련 홈페이지나 동아리에 가입해 활동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대학문화신문의 '공모전섹션'(www.thinkcontest.com), 대학생 공모전 세상 '대티즌닷컴'(www.detizen.com), '공모전, 상상이 가능해지는 공간'(cafe.daum.net/gongsamo) 등을 활용하면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눈에 띄는 작품을 만들어라=광고전이나 디자인전 같은 시각적 작품공모는 일단 '눈에 확 띄는 것'이 중요하다. 수백에서 수천개의 작품이 참가하는 공모전에서는 아무리 디테일이 뛰어나도 '한눈에 두드러지는 임팩트'가 없으면 심사위원들의 눈길을 사로잡기 어렵기 때문이다. 작품 규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면 되도록 작품을 큼직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자잘한 장식보다는 굵직하고 눈에 확 띄게 포인트를 강조하도록 한다. 작품을 제출할 때 잘 만든 작품 근처를 피해 '나보다는 좀 못 만들었다' 싶은 작품들 사이에 끼워넣는 것도 기본이다. ◇PT의 생명은 쇼맨십=프리젠테이션(PT)을 필요로 하는 공모전일 경우 발표자는 철저히 '쇼맨'이 돼야 한다. 아무리 좋은 작품이나 기획서를 준비했다 해도 심사위원들 앞에서 인상 깊게 전달하지 못한다면 소용이 없다. 약간 '오버'한다 싶을 정도로 강한 액션을 취하며 무대를 장악해야 한다. 강한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주제에 맞는 톡톡 튀는 의상 코디도 필수. 군복에서 교복, 각설이 복장, 코스프레까지 작품 컨셉을 살릴 수 있는 의상에 대한 아이템을 고민해야 한다. ◇시각자료를 활용해 심사위원의 마음을 잡아라=구구절절 텍스트로 설명하려고 하기보다는 비주얼 효과를 적절히 이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함축적이고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공모전의 경우 심사위원들은 프로처럼 완성도 높은 작품보다 아이디어와 노력의 흔적을 더 높이 사기 때문에 글만 빽빽하게 찬 리포트보다는 컴퓨터로 다양한 기술을 구사하며 리포트 작성에 애쓴 흔적을 보이는 편이 유리하다. 심사위원들의 성향과 공모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공모 주최 회사의 사시(社是), 사내 트렌드, 광고전략, 기존 당선작의 경향을 샅샅이 분석하는 것은 물론, 온갖 '끈'과 인간관계를 동원해 회사 내부사람과 접촉해 보는 것도 좋다. 이밖에 소규모 공모전으로 눈을 돌리는 것도 수상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다. 널리 알려져 있지 않아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기 때문이다. 아울러 가능한 여러 공모전에 많이 도전해 실전 감각을 높이고 각 공모전의 특성과 패턴을 보는 눈을 기르는 것도 바람직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