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조선왕실' 계보·인맥등 입체적 조망

■ 조선왕실계보<br>박영규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펴냄


조선왕조 500년, 긴박한 순간마다 종친과 외척은 빠지지 않는 주요 등장 인물이었다. 건국 초 나라의 기강을 잡기위해 태종이 왕비인 원경왕후와 며느리인 소헌왕후의 일가를 역도로 몰아 처형해 외척이 정치에 관여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했다. 외척의 정치 개입이 심각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조선 9대 왕 성종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순전히 성종이 당시 권문세가 한명회의 사위였기 때문이다. 외척에 의한 주요 사건으로는 숙종 때 장희빈이 사약을 받은 일이 대표적이다. 그 배후에는 무수리 출신 숙빈 최씨가 있었다. 최씨는 당시 사림파 중 남인 측이었던 장희빈을 물리치기 위해 서인에서 갈라져 나온 노론 세력과 결탁, 아들 연잉군의 입지를 강화하려 노력했다. 급기야 고의로 장희빈이 궁궐 내에 차려놓은 신당을 숙종에게 고발, 숙종이 장희빈을 내치게 했던 것이다. 종친 혹은 외척의 개인적 인간관계에 따라 정책이 결정되기도 했던 조선시대 27명의 왕 중 단 한명도 친인척 문제에서 자유로웠던 사람이 없을 정도다.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 실록’ 등 역사의 대중화를 위해 글을 써 온 저자가 조선 종묘사를 파헤쳤다. “단순히 과거 왕실의 행적인 족보 또는 가족관계 정리를 위한 것이 아니라 독자들에게 조선의 역사를 보다 세밀하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었다”고 저자는 머리말에 밝히고 있다. 2년 여의 집필 끝에 완성한 책은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선원록’ ‘종친록’ 등 관련된 방대한 사료를 샅샅이 뒤져 조선 왕실의 계보와 인맥을 복원해 냈다. 책은 각 임금별, 신분별로 구분해 조선왕조의 인물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1대 태조부터 27대 순종까지 역대 왕과 왕비 등 왕실의 주요 인물들은 물론 공주ㆍ옹주ㆍ부마에 이어 외척에 이르기까지 관련 인물들을 열전 형식으로 구성했다. 인물에 대한 소개는 물론 의식주와 사생활, 혼인과 서열 등 조선 왕실과 그 주변 사람들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자료를 모아 ‘조선 왕실 비사 백서’를 부록으로 실어 조선 왕실의 전체적인 모습을 함께 조망할 수 있도록 했다. 저자는 130여개의 가계도와 진귀한 사진, 왕릉의 위치 등을 상세하게 조사해 조선왕실을 입체적으로 조망해 볼 수 있도록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