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 지주사 전환 나설지 주목

■ 에버랜드 지분 매각 이후<br>경영권 승계 위해 지배구조 변화 불가피<br>20조 자금 부담… 삼성측 "장기검토 과제"


삼성카드가 보유한 에버랜드 지분 17%를 KCC에 매각하면서 순환출자 고리를 끊어버리자 삼성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을 추진할지에 재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지분매각으로 삼성은 삼성에버랜드가 삼성생명→삼성전자→삼성카드를 지배하는 단선형 구조가 됐다. 이에 따라 재계와 증권가는 삼성이 지주회사 전환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지 않겠냐는 분위기다. 지주회사의 밑그림과 구체적인 지분정리 방법들도 나오고 있다. 에버랜드를 지주회사로 전환한 뒤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등을 자회사로 두고 삼성생명을 중간금융지주사로 만들어 금융 계열사를 총괄하게 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과 이부진 호텔신라ㆍ삼성에버랜드 사장, 이서현 제일기획ㆍ제일모직 부사장 등 3세 경영권 승계를 앞두고 지배구조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점도 지주회사 전환 관측이 나오는 배경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삼성이 지주회사 체제가 되려면 천문학적인 돈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당장 지주사 전환을 추진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지주회사는 자회사 지분 20% 이상을 보유해야 하는데 총자산이 148조원에 달하는 삼성전자 지분 20%를 보유하는 데만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삼성그룹의 지주회사 전환에 20조원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설령 자금을 마련한다 해도 이 돈을 지배구조 개편에 다 투입하면 기존 사업이나 신사업에 대한 투자는 엄두도 못 낼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삼성 측은 지주회사 전환은 장기 검토과제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