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SEN 12시 주요 뉴스

# 키프로스 의회, ‘플랜B’ 표결 하루 연기

S&P, 키프로스 신용등급 또 강등


키프로스 정부가 구제금융을 받는 데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자 마련한 ‘플랜B’에 대한 표결이 하루 연기됐습니다.

키프로스 의회는 사회보장 연금 기금의 국유화와 라이키 은행 구조조정 등의 방안을 담은 플랜B 표결을 22일로 연기한다고 밝혔습니다. 의회는 정부와 키프로스 중앙은행 등이 참여해 만든 플랜B의 주요 내용을 좀 더 검토해야 할 부분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플랜B는 지난 19일 은행 예금에 최대 9.9%까지 과세하는 구제금융 합의안이 의회에서 부결된 이후 마련된 것으로 각종 연기금을 통합해 ‘국가 재건 기금’을 구축하는 방안이 뼈대입니다.

한편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키프로스의 국가 신용등급을 ‘CCC+’에서 ‘CCC’로 한 단계 내리고 신용등급 전망도 ‘부정적’으로 제시했습니다. S&P는 키프로스 의회가 마감일까지 플랜B를 마련하더라도 이행하기 쉽지 않아 국가부도 위험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 일본은행 총재 “양ㆍ질적으로 대담한 금융 완화”

구로다, 공식 업무 개시…”2년 내 물가 2% 올린다”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신임 총재가 양과 질 양면에서 대담한 금융 완화를 단행, 2년 안에 ‘물가 2% 상승’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구로다 총재는 취임 기자회견에서 “일본 경제가 15년 가까이 시달려 온 디플레이션에서 탈피해 2%의 물가 상승 목표를 조기에 실현하는 것이 가장 큰 사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어 물가 2% 상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양적, 질적으로 대담한 금융 완화를 추진하겠다”며 “2년 안에 달성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가능한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구로다 총재는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금융 시장에 대량의 자금을 공급하는 양적인 금융완화가 필요하다”며 “효과적인 완화가 되도록 어떤 자산을 구입할 것인가에 대해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의 동향 등을 감안해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구로다 총재는 “지금 버블의 우려가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회사채나 특정 주가지수와 연동되는 상장지수펀드(ETF) 등 국채에 비해 리스크가 높은 금융 상품의 구매 확대를 검토할 구상도 피력했습니다.

# 유엔 인권이사회 북한인권결의안 통과, 북한 인권 조사기구 설치…1년간 포괄적 조사

유엔 인권이사회가 북한 인권조사기구 설치를 골자로 하는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했습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47개 이사국은 컨센서스 방식으로 북한인권결의안을 통과시켰습니다.

결의안은 북한 인권 상황 및 인권침해 가능성 등에 대해 1년간 포괄적인 조사를 진행하는 조사위원회(COI) 창설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과 일본이 제안하고 미국 등이 지지한 결의안은 북한에서 자행되는 고문과 강제노역 등 반인도적 범죄행위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촉구했습니다.

조사위원회 구성이 완료되는 즉시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활동을 벌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네바 주재 대표부 최석영 대사는 “이번에 채택된 북한인권 결의안은 사실조사위원회 창설을 포함하고 있고 컨센서스 방식으로 채택된 데 의의가 있다”며 “이전의 결의안과는 달리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규정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해킹 사흘째…악성코드 침입경로 추적 박차

방송ㆍ금융 기관의 해킹 발생 나흘째, 정부 합동대응팀은 악성코드 유입 경로 추적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합동 대응팀은 해킹당한 서버에 접속 기록이 있는 IP(인터넷주소) 여러 개를 확보, 정밀 분석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이 IP들이 실제 해킹에 활용됐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해킹 당한 서버에서 확보한 악성코드에 대한 분석작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방통위 관계자는 “해킹당한 서버에서 입수한 악성코드에 대한 분석, 악성코드 침입 경로 등 다각도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여러가지 가능성을 열어두고 해킹 실체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서울경제TV 보도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