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상사 위에'영사' … 부사관 5계급으로 확대

국방부 이르면 연내 시행


엄청난 파장 몰고 올 한국군의 대변신
상사 위에'영사' … 부사관 5계급으로 확대국방부 이르면 연내 시행

박준호기자 violator@sed.co.kr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상관 없음












군의 허리 역할을 하는 부사관 계급이 하나 더 늘어난다. 국방부는 현행 4계급인 부사관의 계급체계를 5계급으로 늘리는 방안을 마련, 이르면 연내 시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군의 한 소식통이 27일 밝혔다.

소식통은 "국방부가 부사관 한 계급 추가 신설 방안을 최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보고했다"면서 "앞으로 인수위에서 확정하는 새 정부의 국방정책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설되는 계급 명칭은 '영사(한자표기 英士 또는 令士)'로 의견이 수렴됐으며 상사와 원사 계급 사이에 둘 것으로 알려졌다.

영사 계급의 신설로 부사관 인건비는 연 300억여원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가 부사관 계급 증설을 추진한 것은 부사관 복무 활성화와 기형적인 인력구조를 개선하겠다는 취지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군은 부사관 인력을 4년 단기복무 위주로 운용하고 있고 이 때문에 장기복무율이 하락해 직업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계속돼왔다.

최근 3년간 육군 부사관 지원자를 보면 2010년 1만1,000여명, 2011년 9,000여명, 2012년 1만2,000여명이다. 해당 연도별 지원자 선발률은 각각 88.2%, 111.5%, 118%에 달했다.

하지만 합격자들이 4년 의무복무를 마친 뒤 장기복무자로 선발될 확률은 평균 30%를 밑돌고 있다. 몽땅 뽑아 단기간 활용하고 내보내는 구조다.

부사관 인력도 부대관리 경험과 숙련도가 높은 원사와 상사 수는 적고 중사와 하사 수가 많은 전근대형의 '피라드미드식' 구조로 이뤄졌다.

이런 구조는 부사관 복무지원 자원이 풍부하고 임무수행에 요구되는 기술 수준이 낮을 때 유지할 수 있는 형태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