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 아리랑 공연 취소 통보

美, 관광 중단등 인적교류 봉쇄 가능성

북한이 폭우 피해 때문에 올해 아리랑 공연을 취소한다고 공식 통보해왔다고 6ㆍ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가 30일 밝혔다. 6ㆍ15공동선언실천 북측위는 이날 남측위에 보낸 팩스를 통해 “최근 폭우로 인해 우리측 여러 지역들이 커다란 피해를 입었다”며 “피해를 가시려면 일정한 시일이 걸리게 되므로 부득이 올해에는 아리랑 공연을 하기가 어렵게 됐음을 알린다”고 전했다. 북한은 내달 14일부터 10월 중순까지 평양 릉라도 5월1일 경기장에서 대(大) 집단체조와 아리랑 공연을 개최할 예정이었다. 한편 미국 시카고에 있는 아시아퍼시픽트래블사는 북한 당국의 아리랑 축전 취소 방침에 따라 미국인 북한 관광객 모집 계획을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채택 이후 검토돼온 미국의 대북 추가제재 조치의 발표도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의 한 외교소식통은 “미국의 대북 추가제재 조치가 조만간 이뤄질 것 같다”면서 “이 제재 조치에는 미국이 일방적으로 취할 수 있는 조치와 안보리 결의에 따른 후속조치가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이어 “클린턴 행정부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유예 모라토리엄 선언때 해제했던 경제제재를 다시 부과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북한 관광 중단 등 인적 교류를 전면적으로 봉쇄하는 방안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고 전했다. 북한에 대한 추가 경제제재를 모색하고 있는 일본 자민당은 북한 관련 자금 세탁이 의심되는 국내외 금융기관과 거래하는 일본 국내 은행에 거래 금지를 명령할 수 있는 것을 골자로 하는 ‘금융제재특별조치법안’을 만들고 있다고 마이니치(每日)신문이 30일 보도했다. 자민당 ‘대북 경제제재 시뮬레이션팀’이 검토하고 있는 이 법안은 범죄행위로 취득한 자금이 대량살상무기의 개발과 테러 등에 유용되는 상황을 상정, 일본에서의 자금 세탁을 저지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자민당은 가을 임시국회에 의원 입법으로 법안을 상정할 예정이다. 법안이 통과되면 특정선박입항금지법, 개정외환법, 북한인권법에 이어 일본의 네 번째 대북 제재법이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