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IMF, 伊 구제 나섰지만… 금융권 '유로존 붕괴' 대비책 착수

■사태 전망<br>해결책 없는 회의에 시장 냉랭… EU 재정통합·조약개정 추진도<br>당장 시장불안 해소엔 역부족… "ECB·獨 적극 개입만이 해법"

'논의(argument)만 무성하고 해결책(solution)이 없는 회의에 시장은 질려버렸다.'(뉴욕타임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해법논의가 갈수록 지지부진해지면서 글로벌 금융권은 이미 유로존 붕괴를 기정사실화하고 비상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유럽중앙은행(ECB)과 독일의 적극적 개입만이 마지막 탈출구라며 29일(현지시간) 열릴 유럽연합(EU) 재무장관회의 결과에 한 가닥 기대를 걸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전세계 금융권은 일제히 유로존 붕괴 시나리오를 거론하며 대비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엔드루 베일리 영국 금융감독청(FSA) 은행국장은 지난 24일 런던에서 열린 금융콘퍼런스에서 "일부 국가들이 유로존으로부터 무질서하게 탈퇴할 가능성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며 영국 금융권에 비상계획 마련을 지시했다고 실토했다. 실제로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BS) 등 영국 주요 금융회사들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비상계획을 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금융관리국(HKMA) 관계자도 국내외 은행을 대상으로 유로존 대출 규모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며 이미 역내 은행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테스트를 벌이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처럼 유로존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면서 각국은 잇따라 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나설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결실을 내놓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8일 예정된 EU 집행부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회동에도 시장은 일찌감치 기대를 접고 있다.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의 지원도 얻지 못하는 마당에 15조달러에 육박한 국가채무에 시달리고 있는 미국으로부터 지원 약속을 받아낼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이다. 29일 열리는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에서 유럽안정화기금(ESM) 설립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지만 시장은 회의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물론 EU가 마냥 손을 놓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EU 고위 소식통을 인용해 현재 EU 집행부가 유로존 회원국 간 재정통합과 관련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 중이며 다음달 9일 열리는 EU 정상회의 전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밀어붙이고 있는 EU 조약 개정도 재정통합 이후에 실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금융권 관련 대책도 마련 중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EU유럽위원회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실시해 2011년 종료 예정이었던 은행지원책을 오는 2012년 말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은행지원책은 EU 27개 회원국 위기 은행을 대상으로 공적자금 투입, 은행 간 자금 거래를 원활히 하기 위한 정부 보증, 부실자산 정리 및 구조조정 활성화를 골자로 한다. EU는 재정위기로 은행들의 유동성 확보에 비상이 걸린 만큼 2012년 말까지 조치를 1년 연장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방안들이 당장 시장의 불안을 잠재울 만병통치약이라기보다는 장기적 대책에 불과해 ECB가 앞으로 적극 개입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시장에 내보내지 않는 한 유로존 위기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EU 조약 개정 등 중장기적 통합 심화도 노력 중요하지만 우선 눈앞에 벌어지는 화재를 진압하는 게 급선무"라며 "독일이 유로본드 도입에 적극 나서고 ECB가 공격적으로 재정위기국 국채를 사들이는 것만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