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재래시장서도 모바일카드 쓰세요"

KT-BC카드 스마트금융 제휴

현재 현금결제 비율이 80%를 넘는 재래시장에서 만원어치를 사도 마음 놓고 모바일카드로 신용카드 결제를 할 수 있게 된다. 기껏해야 전단지 수준이었던 중소상인들의 마케팅 수단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확대된다. KT와 BC카드는 24일 서울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중소상인들을 겨냥한 스마트 금융사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 사회 문제로 부상한 카드수수료 인하해법을 IT·금융 융합에서 찾자고 제안했다. 모바일카드를 도입하고 스마트폰·태블릿PC와 클라우드컴퓨팅을 활용해 카드결제 처리과정을 효율화하면 신용카드 발급 및 발송, 매출처리 프로세싱, 카드단말기 구입·운영 등에 드는 비용 가운데 연간 9,000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KT와 BC카드는 모바일카드를 도입, 플라스틱카드를 없애고 제약조건 없이 모든 카드사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종이전표를 없애는 이른바 '3무(無) 금융 서비스'를 실현하겠다고 선언했다. 양사는 우선 소액결제 부담을 덜고 마케팅 도구를 지원하는 등 중소상인들을 돕는 방안을 곧 시행할 계획이다. KT는 "소액결제분을 묶어 일정금액이 돼야 매출로 처리될 수 있도록 재래시장을 위한 별도의 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며 "시범단지를 만들어 재래시장에서 가장 값싸고 효율적인 결제 시스템을 시험하겠다"고 밝혔다. 이석채 KT 회장은 "현금결제 비율이 80%를 넘는 재래시장에서도 카드결제가 대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KT는 또 중소 가맹점에 '올레 캐치캐치' 같은 지역밀착형 모바일마케팅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예정이다. 올레 캐치캐치는 이용자의 위치에 따라 중소 자영업자들이 쿠폰ㆍ전단지 등을 발행하는 타깃마케팅 애플리케이션이다. 또 KT는 BC카드 가맹점들이 우선적으로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을 활용한 결제 인프라를 갖추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소비자들로서는 재래시장에서 현금결제를 해야 하는 불편을 덜 수 있게 된다. 또 재래시장에서도 쿠폰을 받아 저렴한 가격에 좋은 물건을 살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날 KT와 BC카드는 구체적으로 언제부터 얼마나 가맹점ㆍ소비자들의 부담이 덜어질지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 회장은 "스마트폰이 곧 2,000만명을 돌파할 만큼 빠른 나라인 만큼 이른 시간 내에 가능할 것"이라고만 밝혔다. 한편 BC카드는 다음달 KT의 정식 그룹사로 편입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