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4월 27일] 포스코가 政爭대상 되는 것은 위험한 일

지난 3월 마무리된 포스코 회장 선임과정에 정부 실세가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뒤늦게 정치쟁점으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는 것은 포스코를 위해서나 국민경제를 위해서나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우선 사안 자체가 민주당이 밝힌 대로 진상조사특위까지 구성해 다룰 대상인지 의문스러운데다 지금처럼 어려운 시기에 한국을 대표하는 포스코가 정쟁에 휘말릴 경우 직간접적으로 적지않은 타격을 받을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세계시장에서 치열한 생존게임을 벌이고 있는 포스코 같은 글로벌 기업이 당면한 경제위기를 극복해나가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중장기적 비전과 강력한 리더십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만약 포스코가 쓸데없이 정쟁에 휘말릴 경우 이 같은 경영능력을 발휘하는 데 심각한 장애가 될 수 있고 잘못하면 국제적으로 포스코의 기업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돼 포스코는 물론 국민경제에 적지않은 피해를 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포스코 회장 선임과정을 둘러싸고 일부 의혹이 제기되는 것은 사실이라 하더라도 정준양 현회장은 사외이사들로 구성된 사장추천위원회와 이사회 등 적법한 과정과 절차를 거쳐 선임됐고 이제 막 최고경영자로서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평생을 포스코에 몸담아온 철강맨으로 포스코를 이끌어가는 최고경영자로서 적임이라는 평가를 받지 못했다면 그러한 선임과정을 무사히 통과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제 와서 선임과정이 정치쟁점화될 경우 자칫 민간기업의 법적 절차와 권한 행사를 부정하거나 그에 흠집을 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 전대미문의 경제위기에서 가능한 한 빨리 벗어나려면 기업 의욕을 최대한 북돋워 일자리 하나라도 더 늘리고 수출에 전념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 특히 포스코처럼 우리 경제를 대표하는 일류기업들이 얼마나 선전하느냐에 따라 위기극복의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경영활동의 발목을 잡는 일은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업으로서 가장 위험하고 부담스러운 일은 소모적인 정치싸움에 휘말리는 것이다. 포스코와 같은 일류기업이 위험에 빠지는 것은 바로 우리 경제가 위험해지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