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북관계 轉機 필요" 공감속 여야 모두 일단은 신중모드

여야 모두 일단 ‘신중모드’<br>시민사회는 보수ㆍ진보 따라 갈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게 조문에 대한 정부의 고민과는 별도로 정치권 등 민간차원에서는 조문해야 한다는 주장과 그에 따른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특히 남북정상회담 등에서 김 국방위원장등을 만났던 이희호 여사 등은 조문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조문 여부에 대해선 여야간 이견 차는 보였지만 대체적으로 ‘신중 모드’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994년 당시 김일성 전 주석이 사망했을 때 조문할지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이 빚어지면서 남북정상회담 직전까지 갔던 남북관계가 경색된 경험을 반복하지 않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조의 표시를 통해 경색된 남북관계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는 있지만 내년 총∙대선을 앞두고 보수∙진보 진영 간 논란거리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20일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들어가면서 조문 여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여당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논의를 더 해야 한다. 아직 시간이 좀 있으니 국민 의견을 반영해 생각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도 전날 국가안보비상대책회의에서 “조문은 좀 더 천천히 논의하자”는 입장을 내비쳤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민주통합당에선 조문단 파견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도 직접적인 공세는 피했다. 민주통합당은 전날 김 국방위원장의 사망에 조의를 표한 바 있다. 노영민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원내대책회의에서 김일성 주석 사망 당시 조문을 둘러싼 논란을 언급하며 “조문 파동의 교훈에서 우리가 이번 사태에 대한 어떤 대응이 지혜로운지에 대해 하나의 점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해찬 전 국무총리, 이종석ㆍ이재정 전 통일부장관 등 참여정부에서 외교안보라인 장ㆍ차관 및 청와대 보좌관을 지낸 인사들은 이날 노무현재단 회의실에서 간담회를 열어 재단 차원서 조문단을 파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시민사회단체의 의견은 보수와 진보에 따라 크게 엇갈렸다. 진보진영 단체는 김 위원장도 남북정상회담의 또 다른 당사자였음을 존중하는 차원서 조문을 주장하는 반면, 보수 진영은 크게 반대하는 모습이다. 참여연대는 이날 논평을 내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 등 한반도 평화문제를 논했던 한 당사자이자 북한 최고 지도자의 사망이라는 점에서 정부가 조의를 표하는 것은 물론 조문단을 파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한다는 차원에서 용기 있는 결단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조문에 반대하는 대한민국고엽제전우회, 라이트코리아 등 보수 성향 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조문단을 보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