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3D방송 지상파서도 볼수있다

LG, SBS와 송출기술 공동개발… 美방송장비 전시회서 시연

LG전자와 SBS가 지상파 방송망을 활용해 3차원 입체영상(3D) 콘텐츠를 송출하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13일 LG전자는 지상파 방송망의 일부 대역을 활용한 3D TV 기술을 SBS와 함께 개발해 12일(한국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방송장비 전시회인 'NAB 2010'에서 시연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공중파로 기존 2D 방송을 보면서 유휴대역을 통해 전송된 별도의 3D 방송 프로그램을 TV로 전송받아 원하는 시간에 재생할 수 있는 비실시간(NRTㆍNon Real Time) 서비스다. 예를 들어 축구경기 중계라면 2D로 생중계 장면을 시청하면서 함께 전송된 3D 방식의 기존 경기 주요 장면을 내려 받아 나중에 보는 방식이다. LG전자의 한 관계자는 "위성이나 케이블TV는 채널이 여러 개이기 때문에 3D 전용 채널을 운영하기 쉽지만 사정이 그렇지 못한 지상파에서는 한 채널에서 기존 2D 방송과 3D를 동시에 송출하는 것이 기술적 과제"라며 "향후 지상파의 2Dㆍ3D 실시간 동시방송의 기술적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2D와 3D 방송의 실시간 동시방송은 아직 표준마련이나 기술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다. 북미 디지털방송 표준화 기구인 ATSC(Advanced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는 오는 2011∼2012년을 목표로 NRT 방송 서비스를 포함한 차세대 디지털 방송 표준규격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날 LG전자와 SBS가 북미 지상파 방송망을 통해 이 기술을 선보인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지상파 NRT 서비스 규격이 국내에서도 표준화되면 SBS는 이번 전시회에서 시연에 성공한 콘텐츠 송출 시스템을 이용해 3D TV 방송 콘텐츠를 서비스할 예정이다. 또 LG전자는 지상파 방송망을 이용한 3D TV 서비스가 국내에서 실시될 경우 기존 3D TV를 구입한 소비자가 간단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백우현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ㆍ사장)는 "이번 기술개발로 디지털TV에 이어 3D TV에서도 기술 종주국의 면모를 이어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3D 콘텐츠의 다양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