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 '대포동' 2호 등 미사일 7기 발사

정부 "北에 책임…도발 중단하라" 성명<br>미·일 보복조치 검토…유엔안보리 소집


北 '대포동' 2호 등 미사일 7기 발사 유엔안보리 對北제재안 논의정부, 경제지원 재검토…美·日 보복조치 착수 권구찬 기자 chans@sed.co.kr 문성진 기자 hnsj@sed.co.kr 북한이 5일 오전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인 '대포동' 2호 1기를 포함, 모두 7기의 미사일을 발사했다. 북한은 오전3시32분 첫번째 미사일을 시작으로 오전8시20분까지 6기를 발사한 데 이어 오후5시20분 중거리 미사일을 추가로 발사했다. 이중 북한이 오전5시 세번째로 발사한 장거리 미사일 '대포동' 2호는 발사 42초 만에 동해상에 추락했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미사일 발사를 강행함에 따라 남북경협을 포함한 남북관계 전반이 경색되고 미국 내 강경파의 대북 제재론이 더욱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주석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수석은 이날 청와대 춘추관에서 발표한 정부 성명에서 "북한은 오전3시32분부터 동해를 향해 대포동 2호와 스커드 및 노동급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확인했다. 서 수석은 성명에서 "북한은 이번 발사로 야기되는 사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이 같은 도발적 행위를 중단하고 6자회담에 즉각 복귀해 대화로 문제를 풀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에 앞서 오전7시30분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개최한 데 이어 11시에는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대응 방향 등을 논의했다. 청와대는 안보장관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대화는 끊지 않되 북한이 실질적인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도록 조치를 검토, 추진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반기문 외교부 장관은 "쌀ㆍ비료 등 인도적 지원 문제를 비롯한 남북관계를 재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과 일본은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를 '도발행위'로 규정하고 보복조치를 발동했거나 검토 중이다. 미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NSC를 긴급 소집, UN을 통한 대북 제재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UN은 이날 오후11시(한국시간) 안전보장이사회를 긴급 소집, 안보리 결의안을 통한 대북 제재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일본은 북한 화물여객선 '만경봉 92호'의 입항을 6개월간 금지시키는 등 즉각적인 대북 보복조치에 착수했다. 아소 다로 일본 외무장관은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북ㆍ일 평양선언 위반"이라며 "외환관리법에 따른 제재조치를 발동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 입력시간 : 2006/07/05 17:1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