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디지털혁명 효과 화두 던진 이주열

"드론·유비쿼터스 시스템이 모든 사람 이롭게 할까"

"성장동력은 기술혁신서 찾아야"

/=연합뉴스

이주열(사진) 한국은행 총재가 디지털 혁명이 소수에게만 혜택을 주고 새로운 일자리는 창출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이 총재는 21일 서울 소공동 한은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디지털 혁명이 소수의 기술력을 갖춘 사람에게만 혜택을 주고 나머지 사람들이 종전과 같은 혜택을 못 받는 쪽으로 가지 않겠느냐 하는 내용이 실렸다"고 말했다. 지난 1차 산업혁명 때는 동력 방직기, 2차는 자동차·전기로 인해 많은 사람이 직업을 잃었지만 그 반대로 헤아릴 수 없는 경제적 기회와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됐는데 디지털 혁명기는 장담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이 총재는 "지난 20∼30년 동안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으로 없어진 일자리가 엄청나게 많다"면서 "앞으로 10∼20년 안에 40% 이상의 직업이 사라진다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 총재가 언급한 기사에는 디지털 혁명이 많은 일자리만 없애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디지털 혁명은 1· 2차 산업혁명 때보다 사회를 더 분열(divisive)시킬 수 있다는 해석도 포함됐다.

한편 이 총재는 앞으로의 성장동력은 기술혁신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 과학자 중 노벨상 수상자가 19명이나 있다"며 "그중에는 지방대를 졸업하고 지방의 중소기업에서 연구한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또 "결국 앞으로의 성장동력은 기술혁신, 생산성 향상에서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점점 하락하는 가운데 과학기술 분야가 더 약진해야 한다는 뜻을 에둘러 표현한 셈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