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KT "1.8GHz는 우리 것" 각축전

국내 첫 이통 주파수 경매 <br>4세대 LTE에 활용 예정… 과열경쟁에 가격 1조 넘을땐 "승자의 저주 초래" 우려도 <br>2.1GHz 단독 입찰, LG유플러스는 '느긋'

17일 오전 9시, 경기도 분당의 정보통신기술협회(TTA) 지하 1층.
SK텔레콤ㆍKTㆍLG유플러스 관계자들이 각각 준비된 '입찰실'에 자리를 잡았다. 이들이 모인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시행되는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 각 통신사들의 미래를 건 경매가 시작된 것이다. 이날의 최대 관전 포인트는 1.8GHz. 전세계에서 널리 쓰이며, 4세대 이동통신 '롱텀 에볼류션(LTE)'에 활용될 예정이어서 SKT와 KT가 첨예하게 맞붙었다. 두 회사는 800MHz 대역에도 응찰했지만 우선적인 관심사는 1.8GHz다. 800MHz의 경우 내년 7월부터 사용할 수 있는 데다 주파수 폭도 좁아 이용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 양 사는 할당 받는 주파수를 LTE망으로 이용할 계획이다. 그런 탓에 SK텔레콤의 입찰인으로 나선 하성호 SK텔레콤 대외협력실장과 이경수 KT 유무선네트워크전략본부장은 긴장한 모습으로 경매에 나섰다. 반면 LG유플러스는 여유로운 입장. 이날 경매에 부쳐지는 주파수 중 2.1GHz는 LG유플러스가 단독 입찰했기 때문이다. 김형곤 LG유플러스 상무는 "주파수를 받고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돼 감회가 새롭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그동안 3세대(3G) 이동통신망 없이 2세대(2G) 망으로만 서비스를 해 다소 경쟁력이 떨어졌다. 하지만 2.1GHz 주파수를 활용하면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통신망에서는 경쟁사에 뒤지지 않는 기반을 갖추게 된다. 10시 전후 경매가 시작되자 각 사는 원하는 주파수의 입찰 가격을 써내기 시작했다. 경매는 라운드 제한이나 가격 상한선 없이 가장 높은 가격을 써내는 측이 주파수를 가져가는 '동시 오름' 방식으로 진행됐다. 각 라운드 사이에는 30여분의 시간이 주어지는데, 이 시간 동안 입찰인들은 사전에 지정한 각 사의 의사결정권자 2명과만 전화로 의견을 나눌 수 있다. 800MHz 단독 입찰인 LG유플러스는 일찌감치 경매 시작 가격인 4,455억원에 주파수를 낙찰받을 것이 유력하지만, SK텔레콤과 KT는 어느 한 쪽이 포기할 때까지 며칠이고 경매에 참가하게 된다. 오남석 전파기획관은 "시간상 하루에 올라갈 수 있는 금액은 400억원 가량"이라며 "경매가 끝나기까지 며칠은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1.8GHz와 800MHz의 입찰은 4,455억원ㆍ2,610억원부터 시작되며 각 라운드마다 제시된 최고가격의 1% 이상씩을 더 얹어 불러야 다음 라운드에 참여할 수 있다. 하지만 가격 상한선이나 과열 경쟁을 막을 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경매방식 탓에 일각에서는 '주파수 가격이 1조원을 넘어가 '승자의 저주'가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