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방통위 "이통사 의무약정 실태조사 나설것"

방통위, 이달 번호이동 20% 증가등 시장과열 조짐에 경고


의무약정제 도입 이후 주춤했던 이동통신사들간의 가입자 확보 경쟁이 다시 가열될 조짐을 보이자 방송통신위원회가 불 끄기에 나섰다. 방통위는 이와 관련 “예의 주시중”이라며, 유선통신사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는 데로 의무약정에 대한 실태조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28일 방송통신위원회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방통위는 최근 지난 4월 이후 소강상태를 보였던 이동통신사들의 단말기 보조금 경쟁이 최근 약정 할인 확대로 고개를 들 조짐을 보이자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통위의 한 관계자는 “의무약정제 도입에 따른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경우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해 이통사에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그는 또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조만간 시장을 한번 점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유선통신업체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된 후 실태점검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방통위의 이 같은 행보는 이 달 들어 이동통신 번호이동 가입자가 지난달 대비 20% 가량 증가하는 등 다시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지난 27일 현재 번호이동건수는 89만3,732건으로 지난 4월 전체 건수(82만7,019건)를 가볍게 뛰어넘었다. 하루에 약 3만3,000명의 가입자가 번호이동을 통해 이통사를 바꾸고 있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하루 평균 번호이동건수가 2만~3만명을 넘어서면 과열로 판단하고 있다. 업계는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이달말까지 번호이동 건수가 약 100만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는 가입자 확보경쟁이 정점에 달했던 3월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이통사의 가입자 확보전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것은 1ㆍ4분기 실적 부진에 시달린 업체들이 이를 만회하기 위해 최근 본격적인 마케팅경쟁에 뛰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단말기 할부보조금제도가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면서 너도나도 지원금 수준을 높인 결과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경쟁사가 단말기 할부지원금을 비정상적으로 높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따라갈 수 밖에 없다”며 “마케팅비용이 지난달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