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추카 방가 짱나 허걱 헐..' 추방하자

교육부 '인터넷 언어 순화 자료집' 배포

`어솨요, 샘'(어서오세요, 선생님), `ゴ|ゴ|δδ'(웃음), `읍ㅎ℉를_ㅁ|てつ효_∩∇∩★'(오빠를 믿어요)... 학생 등 청소년 사이에 언뜻 봐서는 의미를 알 수 없는 인터넷 용어가 확산되고있는 가운데 교육인적자원부는 인터넷 언어를 순화하고 일상생활의 언어 예절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교사용 지도 자료집을 발간해 일선학교에 배포했다고 10일밝혔다. `인터넷 언어순화, 생활 속의 언어 예절'은 교육부와 국립국어원, 정보통신윤리위원회,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그리고 깨끗한 미디어를 위한 교사운동이 공동으로 제작한 것으로, 교과수업과 재량.특별활동 시간에 활용된다. 책자는 인터넷상의 언어파괴 유형으로 우선 축약형과 줄임말을 들었다. 방가(반가워), 겜(게임), 짱나(짜증난다), 냉무(내용없음), 즐팅(즐겁게 채팅하세요), ㅎㅎㅎ(웃음), ㄴㄱ?(누구세요?) 등이 그것. 소리나는 대로 적거나 된소리를 내는 마자(맞아), 추카(축하), 어이엄따(어이없다), 띤구(친구) 등과 은어인 껌이냐?(무시하냐?), 구라(거짓말), 당근(당연하다),담탱(담임선생님), 또 단어 형태를 바꾼 이써여(있어요), 왔어염(왔어요) 등도 의미는 대충 알 수 있지만 자제해야 할 언어습관으로 지적됐다. 의성어.의태어인 음야(지루하고 졸리다)나 허걱(놀랍다), 헐(황당하다), P~(한숨), ㅂ(`그만'과 비슷하게 꾸짖는 말) 등도 인터넷에서는 널리 쓰이지만 일반인은 쉽게 해독할 수 없는 용어. 특히 책자는 아예 일정한 규칙이나 형식없이 한글과 이상한 문자를 섞어쓰는 용어는 `외계어'로 규정했다. `읍ㅎ℉를_ㅁ|てつ효_∩∇∩★'(오빠를 믿어요), `ゴ|ゴ|δδ'(웃음), `ロЙ흴_ゼつじĦ㈜λıㄲっズき¿?'(메일 보내주실 거죠?), `よøぎㅎビλĦㅎコ_¤ 읍ㅎF_しち흐ロっㅉヴ횾_≥∇≤☆'(안녕하세요, 오빠, 너무 멋져요) 등이 그 예다. 책자는 인터넷 언어가 다양한 감정표현이 가능하고 개성적이고 창의적이며 빠른속도에 적응할 수 있는 등의 긍정적 기능이 있지만 청소년의 문법과 국어 실력을 저하시키고 세대간 단절과 의사소통 혼란을 초래하는 부작용이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인터넷 언어 5계명으로 ▲가능한 한 문법을 지키자 ▲인터넷 언어는 사이버 공간에서만 쓰자 ▲외계어는 삼가고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사용하자 ▲문법을파괴하지 않는 용어를 쓰자 ▲채팅에는 이모티콘을 적절하게 사용하자 등을 제시했다. 박삼서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과장은 "학생들이 일상 언어를 올바르게 사용하도록어문교육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