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EU FTA 발효후 한달간 명품 판매 17%나 늘어

자료사진


한ㆍEU FTA 발효 후 한달 만에 명품 판매가 17%나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명품매출 급증에 대해 “FTA 발효에 따른 실질 가격 인하금액은 크지 않지만 심리적 부담감이 줄어 들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1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ㆍ현대ㆍ신세계ㆍ갤러리아 등 국내 4대 백화점에서 한ㆍEU FTA가 발효된 7월1일부터 한 달 간 루이비통, 샤넬, 구찌, 프라다, 에르메스 등 5개 명품 브랜드 판매는 78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7% 늘어났다. 상대적으로 고가인 루이비통과 샤넬, 에르메스도 매출 561억원으로 13.5%의 신장률을 기록했다. 브랜드 별로는 가장 매출이 많은 루이비통이 297억원에서 327억원으로 10.1% 성장했다. 샤넬이 147억원에서 176억원으로 19.7%, 에르메스는 50억원에서 58억원으로 16.0% 각각 늘었다. 이들 3개 브랜드의 경우 4개 백화점의 매출이 통상 국내 매출의 90%를 차지한다. 프라다는 지난해 7월에 비해 66.7% 늘어난 90억 원의 매출을 올려 가장 높은 신장률을 보였으며 구찌는 같은 기간 122억원에서 133억원으로 9.0% 실적이 증가했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명품업체들이 올 상반기에 잇단 가격 인상을 해 전년에 비해 실질적으로는 가격이 오른 상태지만 FTA 효과로 심리적인 가격 저항선이 내려가 고객이 몰리고 있다”면서 “FTA 이후 매장을 방문하는 사람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매출도 늘었다”고 말했다. 한편 명품 브랜드는 FTA 발효를 전후해 오히려 가격을 올렸다가 뒤늦게 소폭 인하 방침을 밝혀 ‘생색내기’라는 비난을 샀다. 루이비통은 상반기 두 차례 가격을 인상했고 프라다는 FTA 발효 이후 456개 품목의 가격을 오히려 올렸다. 구찌는 선적지가 EU 역외 지역인 스위스라는 이유로 FTA에 따른 관세 혜택이 없다며 기존 가격을 고수하고 있다. 에르메스는 7월 중순에서야 주요 상품 가격을 평균 5% 인하해 7월 구매 고객이 혜택을 크게 받지는 못했다는 분석이다. 샤넬은 지난 5월 25% 가격을 인상한 후 8월 들어 평균 5%를 인하했다. 업계에서는 명품 가격이 한국시장에서 유난히 비싼데도 불구하고 매출이 늘어난 것은 국내 소비자의 선호가 줄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